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476
한자 李山光
이칭/별칭 죽림처사(竹林處士),동계(東溪)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0년연표보기 - 이산광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이산광 광국평난원종훈에 녹훈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이산광 선조의 의주 피난 호위
활동 시기/일시 1618년 - 이산광 이이첨의 폐모론에 반대하였다 보령으로 낙향
몰년 시기/일시 1624년연표보기 - 이산광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20년 - 이산광 묘비 건립
거주|이주지 낙향지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 금자동지도보기
부임|활동지 부임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묘소|단소 이산광 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한산
대표 관직 홍산현감

[정의]

이이첨의 폐모론을 반대하였다 충청남도 보령에 낙향한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이산광(李山光)[1550~1624]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에 공을 세우고,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재위: 1567~1608]를 호종(扈從)하였다. 광해군(光海君)[재위 1608~1623] 때 폐모론(廢母論) 주장에 반대하였다가 관직에서 물러나고, 보령에 낙향하였다.

[가계]

본관은 한산(韓山), 호는 죽림처사(竹林處士) 또는 동계(東溪)이다. 아버지는 이지번(李之蕃)[1508~1575], 형은 영의정 이산해(李山海)[1539~1609]이다.

[활동 사항]

국가의 종계(宗系)를 바로잡고, 정여립(鄭汝立)[1546~1589] 모반 사건에 공을 세워 광국평난(光國平難) 원종훈(原從勳)에 녹훈(錄勳)되었고, 임진왜란 때 선조의 의주 피난에 호종하였다. 음사(蔭仕)[과거를 거치지 아니하고 조상의 공덕에 의하여 맡은 벼슬]로 참봉·사평 등을 거쳐 홍산현감을 지냈다.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1560~1623]이 폐모론[광해군의 계모가 되는 인목대비를 폐하기 위해 벌인 논쟁]을 주장하자 종손 이부(李阜)와 함께 이이첨을 처단할 것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고, 이이첨의 면전에서 술에 취한 체하며 침을 뱉었다는 일화가 전한다.

이산광은 이렇게 이이첨을 공박하였다가 배척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났고, 보령 청라 금자동으로 낙향하여 오서산 명대계곡 입구에 귀학정(歸鶴亭)을 짓고 시주(詩酒)로 소요하였다. 구봉(龜峰) 송익필(宋翼弼)[1534~1599]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송익필이 귀학정에 머무르며 남긴 오언율시가 전한다. 김복한이 지은 묘비명이 있다.

[묘소]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산광은 광국평난(光國平難) 원종훈(原從勳)에 녹훈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