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항동 동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123
한자 內項洞 洞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내항동 안소래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민정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산제당 - 충청남도 보령시 내항동 지도보기 안소래마을 왕대산 능선
성격 산신제
의례 시기/일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
신당/신체 왕대산 당집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내항동 안소래마을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던 마을 제사.

[개설]

안소래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동제(洞祭)를 지냈다. 동제는 ‘분향-헌작-재배-독축-소지 올리기-음복’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산제당은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잠시 머물렀다고 전해오는 왕대산 능선에 있었다고 한다. 산제당은 돌을 쌓아 벽을 만들고 짚으로 지붕을 얹었다. 그리고 제당 전면에는 나무로 된 문을 달았다. 내부 벽면에는 산신령이 호랑이를 타고 있는 탱화가 걸려 있고, 탱화 아래에 제단이 있었다고 한다.

[절차]

음력 정월 초에 생기복덕(生氣福德)[그날의 운수를 알아 보는 방법 중 하나로 택일(擇日)의 기초가 됨]을 살펴 당주(堂主)와 축관을 뽑는다. 당주와 축관은 외출을 삼가고, 목욕재계를 하여 몸과 마음을 정갈히 한다. 제비(祭費)는 정초에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풍장을 울리고 쌀과 돈을 걸립(乞粒)하여 충당한다. 제물은 돼지머리, 메, 갱[제사상에 올리는 국], 떡시루, 생선, 포, 나물, 삼색실과, 술 등을 준비한다.

열나흗날 저녁에 당주 일행이 산제당에 올라간다. 제당에 도착하면 제물을 진설한다. 마을에서 돼지를 잡아 돼지머리를 익혀 올린다. 모든 준비가 끝난 뒤에 당주는 분향을 하고 술을 올린다. 이어 두 번 절을 한다. 당주가 다시 술을 올리고 엎드리면, 축관이 마을의 평안 등을 기원하는 축문을 읽는다.

독축이 끝나면 당주와 축관은 재배를 하고 주민들의 건강과 만사형통을 기원하는 소지를 올린다. 대동 소지에 이어 집집마다 호당 소지를 올린다. 소지 올리기가 끝나면 당주 일행이 음복하고 하산한다. 마을 사람들은 풍물을 치면서 음식을 나눠 먹는다.

[축문]

대천문화원[현 보령문화원의 옛 이름]에서 채록한 안소래마을 산신제의 축문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維歲次) □□정월(□□正月) □□삭(□□朔) 십사일(十四日) □□ / 당주(堂主) □□□ 감소고우(敢昭告于) / 왕대산신지위(王臺山神之位) 신이이화(神人以和) 불언이친(不言以親) / 유악강령(維嶽降靈) 일덕일인(日德日仁) 무진자토(撫鎭玆土) / 이안거민(以安居民) 백요도형(百妖逃形) 도상일일진(悼祥日日臻) / 근이(謹以) 신기음식(神嗜飮食) 서기흠격(庶幾歆格) / 상향(尙饗)”

[부대 행사]

제사가 끝난 후에 제관과 참석한 마을 사람들이 음복하고, 풍물패가 밤 늦게까지 마을을 돌면서 신명나게 놀이판을 벌인다.

[현황]

내항동 동제는 일제 강점기에 무속 말살 정책에 의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산신당 터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