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1236 |
---|---|
한자 | 金先生憂亭集 |
이칭/별칭 | 우정집,금선생우정집,우정선생문집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사현 |
간행 시기/일시 | 1860년 - 『김선생우정집』 간행 |
---|---|
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간행처 | 연세대학교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신촌동 134] |
성격 | 문집 |
저자 | 김극성 |
간행자 | 김영수|김헌수 |
권책 | 6권 3책 |
행자 | 10행 20자 |
규격 | 33.2㎝[세로]|21.3㎝[가로] |
어미 |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
[정의]
조선 전기 문신 김극성의 문집.
[개설]
1860년경 후손 김영수(金永秀)·김헌수(金憲秀) 등이 목활자로 간행한 김극성(金克成)[1474~1540]의 문집이다. 우정집(憂亭集)·금선생우정집(金先生憂亭集)·우정선생문집(憂亭先生文集)이라고도 한다.
[저자]
김극성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성지(成之), 호는 청라(靑蘿)·우정(憂亭)이다. 할아버지는 김중로(金仲老)이고, 아버지는 만취당(晩翠堂) 김맹권(金孟權)이다. 어머니는 전삼달(全三達)의 딸이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에 장원하고,1498년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후에 관직에 나아갔다. 1500년 서장관으로 중국 명나라에 다녀와서 북평사(北評事)가 되었고 헌납에 발탁되었으며, 병조정랑, 사인(舍人) 등을 지냈다.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에 녹훈되어 장악원정(掌樂院正)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부모 봉양을 위해 외직을 희망하여 서천군수로 부임하였다. 이어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 병조참의를 지내고 가선대부로 승진하여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 의주목사로 갔다가 1518년(중종 13) 삼공(三公)에 의해 문무 겸비의 인물로 천거되어 예조참판에 임명되었다. 다시 경상우병사·경상도관찰사를 지내고, 이듬해 공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에 임명되어 중국 베이징에 다녀왔다. 대사헌을 거쳐 1523년 예조판서, 우참찬, 이조판서 등을 지내다가 잠시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김안로(金安老)[1481~1537]의 미움을 받아 그 일파의 모함으로 1531년(중종 26) 정광필(鄭光弼)과 함께 흥덕(興德)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김안로가 죽자 귀양에서 풀려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묘소와 신도비 그리고 사우(祠宇)가 있다.
[편찬/간행 경위]
김극성의 시문은 유실되어 오랫동안 수습되지 못하다가 세상을 떠난 지 200여 년 후에 조창호의 집에서 8대손 김계환(金啓煥)이 우연히 발견하여 간직하다가 10대손 김양흠(金亮欽)[1769~?]이 간행하려 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 후 김양흠의 손자인 김영수(金永秀)·김헌수(金憲秀) 등이 정구석(鄭龜錫)에게 교감을 부탁하여 시율(詩律) 600여 수와 잡문 7편을 4권으로 정리하고‚ 부록 2권을 더하여 모두 6권 3책으로 편집하여 1860년(철종 11)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김선생우정집』은 목할자본 6권 3책으로,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의 크기는 세로 25.1㎝, 가로 16.9㎝이다. 계선이 있으며, 행자 수는 10행 20자, 주(註)는 쌍행(雙行),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며, 책 크기는 세로 33.2㎝, 가로 21.3㎝이다.
[구성/내용]
권두에 송래희(宋來熙)의 서문, 권말에 정구석의 발문이 있다. 권 1~4는 시(詩) 670수, 잡저(雜著) 7편, 권 5~6은 부록으로 교서·행장·가장·시장·신도비명·사제문 각 1편, 제문 16편, 만장 41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 말미에는 광산 김씨 10대손인 김광세(金光世)로부터 20대손인 김극성(金克成)에 이르는 가계와 약력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김선생우정집』은 조선 전기 문신인 김극성의 문학적 능력을 살필 수 있으며, 문집을 간행하기 위한 과정과 광산 김씨 후손들의 노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