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계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254
한자 鵝溪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595년연표보기 - 『아계유고』 저술 완성
간행 시기/일시 1659년연표보기 - 『아계유고』 목판본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1월 20일 - 『아계유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8호 지정[목판]
문화재 지정 일시 2017년 6월 19일 - 『아계 이산해 기성록 초고본』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4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아계유고』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소장처 이산해 사당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상항방산로 319-50[방산리 198-1]
성격 시문집
저자 이산해
편자 이경전
권책 6권 3책
행자 9행 20자
규격 31.7㎝[세로]|19.8㎝[가로]
어미 상하내향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권수제 아계유고(鵝溪遺稿)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8호[『아계유고』 목판]|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4호[『아계 이산해 기성록 초고본』]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이산해의 시문집.

[개설]

『아계유고(鵝溪遺稿)』는 1592년(선조 25)부터 1595년(선조 28)까지 이산해(李山海)[1539~1609]가 기성(箕城)[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서 유배 생활 중에 지은 시문과 여러 유고를 모아 아들 이경전(李慶全)[1567~1644]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에 있는 이산해의 사당에 『아계유고(鵝溪遺稿)』 목판이 소장되어 있으며, 모두 135장으로 2009년 1월 2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저자]

이산해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여수(汝受), 호는 아계(鵝溪)·죽파옹(竹皮翁),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버지는 이지번(李之蕃)[?~1575]이다. 1558년(명종 13) 진사시, 1561년(명종 16) 식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지내고, 1589년(선조 22) 영의정이 되었다. 1592년(선조 25) 선조는 임진왜란의 책임을 물어 이산해를 기성에 유배하였다. 조선 중기 북인(北人)의 영수로, 문장에 능해 선조 때 문장팔가(文章八家)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

[편찬/간행 경위]

『아계유고』 권 2 「기성록(箕城錄)」 말미에 실린 발문에 따르면, 1594년(선조 27) 이산해가 1592년 기성으로 유배 간 후 아들의 요청으로 그곳에서 지은 율시(律詩)·고시(古詩)·절구(絶句) 등을 모아 「기성록(箕城錄)」이라 하여 아들에게 주었다고 하였다. 이후 「기성록」에 실리지 못한 유고(遺稿)를 아들 이경전이 모아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이산해가 아들 이경전에게 전했다는 「기성록」의 원본은 없고 『아계유고』에 수록된 「기성록」만 전해졌는데, 2017년 『아계 이산해 기성록 초고본(鵝溪 李山海 箕城錄 草稿本)』이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며 초고본이 공개되었다. 이 초고본은 간행된 「기성록」보다 55수가 더 수록되어 있다.

[형태/서지]

『아계유고』는 6권 3책의 목판본이다.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 반곽의 크기는 세로 21.7㎝, 가로 15㎝이다. 행자 수는 9행 20자, 어미는 상하내향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이며, 책 크기는 세로 31.7㎝, 가로 19.8㎝이다.

[구성/내용]

『아계유고』 권 1·2 「기성록」에는 1592~1595년까지 기성에 유배되어 있는 동안 지은 시문 약 200여 편이 저작 순서로 실려 있고, 권 3에는 「기성록잡저(箕城錄雜著)」라 하여 유배 당시 머물던 주변 명승, 인근 사찰 등에 관한 내용이 記(기)·說(설)·傳(전)·書(서)로 실렸다. 권 4에는 기성에서 돌아온 후 저술한 시(詩)와 만장(挽章)이 실려 있으며, 권 5에는 소(疏)·차(箚)·발(跋), 권 6에는 기(記)·서(序)·명(銘)·제문(祭文)·부(賦)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중기 북인의 영수인 이산해의 사상을 살펴볼 수 있고, 「기성록」 초고본이 발견됨에 따라 초고본과 문집의 비교를 통해 문집 편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