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338
한자 陽山道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현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 「양산도」 『한국의 민속음악』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양산도」 『보령의 민요』에 수록
채록지 장고도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지도보기
채록지 보령리 -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지도보기
성격 민요
토리 경토리
출현음 솔·라·도·레·미·솔·라
기능 구분 유희요
형식 구분 자유로운 형식
박자 구조 3분의 3박자[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양산도」]
가창자/시연자 강보열|최영종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전승되는 통속 민요.

[개설]

「양산도(陽山道)」는 경기도 지방의 민요로 알려져 있지만 통속 민요의 하나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불리는 노래이다. 창곡은 고정되어 있지만, 사설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유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5년 대천문화원[지금의 보령문화원]에서 발행한 『보령의 민요』에는 ①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장고도에서 강보열(창)에게, 1988년 한국정신문화원[지금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의 민속음악』에는 ②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최영종(창)에게 채록, 보고되었다.

[구성 및 형식]

『한국의 민속음악』에 실려있는 「양산도」는 3분의 3박자 세마치장단으로 구성되어 맑고 흥겨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선율의 구성 음은 ‘솔·라·도·레·미·솔·라’로, 경토리이다.

[내용]

「양산도」의 사설은 다음과 같다.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장고도의 사설

어이여/ 잠은 죽어, 화초가 되구/ 목단여자는 행화촌이로구나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의 사설

에에이리에/ 양덕 맹산 흐르는 물이 감돌아 든다 모 부벽루화-로-다// 삼산은 반락 고란봉이요 이 수중부가 중마도로다// 에에이리에 / 이구정마저모지랑비구 싹싹 쓸어다 한강수에 묻고// 없는 영 있는 듯이 잘살어 보게// 게 와라 밀어라 땡겨라 긁어 부쳐라 물어라 뜯어라 날 잡어먹어라 뱀질들에여도 못노니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