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820 |
---|---|
한자 | 具周星 |
영어음역 | Gu Juseong |
분야 |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정용 |
조선 중기의 효자.
본관은 창원(昌原). 부사공파(府使公派) 동래 문중으로 구설(具雪)의 14세손이다. 아버지는 구득룡(具得龍)이다.
구주성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을 얻어 일어나지 못하자 손가락을 잘라 관혈하여 소생케 하였다. 효행이 향리에 널리 알려져 조정에서 정려를 내려 효의 귀감으로 삼았다. 이러한 내용이『창원시사』에 기록되어 있다.
묘소는 현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산 일원에 있었다고 전한다.
1670년(현종 11) 정려가 내려지고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괘법고개에 정려각이 정려비가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2동 강선대(降仙臺)와 해운대구 석대동에 있었다고 전한다. 부산에 어떤 연고가 있을 듯하나 자세한 것은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