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3012 |
---|---|
한자 | 平發- |
이칭/별칭 | 평발티,배돌현,배응현,배응돌,평치,평발령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환 |
전구간 | 평발 고개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 |
---|---|
성격 | 고개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있는 고개.
창원시 진해구 웅천 지역과 웅동 지역을 연결하는 고개로 지금은 국도가 개설되어 있다.
‘평발(平發) 고개’라는 지명은 이름을 풀이하면 “서쪽에 있는 평평한 고갯길”이라는 점에서 ‘평발 고개’라고 부르게 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평발티라고도 하는데, 평발티의 한자 표기는 다양하다. 『중종실록』에 의하면 삼포 왜란 때 왜구 평정을 하려고 “관군이 배돌현(排乭峴)으로 쳐들어갔다”고 하여 ‘배돌현’으로 표기하였고 『대동여지도』에는 ‘배응현(裵應峴)’, 비변사의 『웅천현 지도』에는 ‘배응돌현(裵應乭峴)’, 1899년(고종 36)의 『웅천현 지도』에는 ‘평치(平峙)’ 등으로 표기하였고, 또 ‘평발령(平發嶺)’이란 표기도 있었다. ‘배돌현·배응현·배응돌현’이란 이름은 어원을 밝히기 어렵다. ‘평티’와 ‘평바령’은 ‘평바티’의 차자 표기로 보겠는데 ‘발티’는 ‘큰 발티’와 같은 이론에서 본다면 “웅동 지역에서 보다 서쪽에 있는 고개”로 풀이할 수 있으며, ‘평’은 ‘큰 발티’처럼 가파른 비탈길을 오르내리는 고개가 아니어서 붙인 접두사로 보인다.
평발 고개는 천자봉 산지를 이루는 불모산, 웅산[곰메, 시루봉]의 줄기가 뻗어 내린 산자락의 자매산[일명 자마산] 산등성이에 자리 잡고 있다. 이 평발 고개를 중심으로 서쪽에는 웅천 지역이 동쪽으로는 웅동 지역이 자리 잡고 있으며 평발 고개 남쪽 방향으로 국도 2호선이 잘 포장되어 있다.
지금은 웅천 지역과 웅동 지역 사이에 국도가 나 있지만 국도가 개설되기 전에는 그보다 북쪽에 평발 고갯길이 있었으며, ‘평발티’ 또는 ‘평발 고개’라고 하였다. 웅천의 성내동에서 웅동 지역으로 오가던 고갯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