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3088 |
---|---|
한자 | -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호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진률 |
전구간 | 마재천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
---|---|
해당 지역 소재지 | 중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호계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
성격 | 하천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 마재 고개에서 발원하여 호계리에서 광려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와 마산회원구 두척동 사이에 있는 마재 고개 부근에서 발원하므로 마재천이라 이름 하였다. 마재 고개는 무학산(舞鶴山)[761.1m] 기슭에 있는데, 무학산의 원래 이름은 두척산(斗尺山)이다. ‘두척’이란 쌀을 재는 말통을 뜻하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뜻은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말 ‘마(馬)’자로 옮긴 것이 마산(馬山)으로 표기되었다.
마재천은 마재 고개에서 발원하여 무학산 기슭의 윗구슬골[上玉洞]에서 흘러내린 물과 아랫구슬골[下玉洞]에서 흘러내린 물을 아우르며 서북쪽으로 열린 좁은 골짜기를 따라 흐르다가 중리 옥정 마을을 지나 내서읍 호계리에서 광려천으로 합류한다. 마재천 골짜기는 주요 교통로가 통과하고 시가지가 확장되어 농경지로서의 역할은 미미하다.
마재천의 유로 연장과 유역 면적은 정확한 수치가 조사되어 있지 않으며, 시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이고 종점은 내서읍 호계리이다. 마재천 하류의 옥정 마을은 마산, 대구, 진주로 가는 세 갈래 길이 있어서 삼거리라고도 하는데, 그 이름에 걸맞게 마재천과 나란히 남해 고속 국도, 마산과 대구를 잇는 국도 5호선, 경전선 철도가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