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3272 |
---|---|
한자 | 昌原-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종호 |
준공 시기/일시 | 1993년![]()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97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1월 1일 - 창원 터널 요금제 폐지 |
전구간 | 창원 터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동
![]()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창원 터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
![]()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창원 터널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성격 | 도로 터널 |
길이 | 상행 2.34㎞|하행 2.34㎞ |
차선 | 4차선 |
폭 | 9.4m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과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을 잇는 지방도 1020호 상의 터널.
1993년 하행 방면의 창원 터널이 먼저 개통되었다. 이후 1997년 상행 방면의 창원 터널이 개통되었다.
창원 터널은 왕복 4차선의 복선 터널이다. 상행 터널의 제원은 길이 2,345m, 폭 9.4m, 높이 4.7m이며, 하행 터널의 제원은 길이 2,340m, 폭 9.4m, 높이 4.7m이다.
1993년 이후 개통한 창원 터널은 건설 자금의 회수를 위해 요금을 징수 하였으나 2011년 1월 1일 이후 경상남도 김두관 도지사의 공약으로 인해 통행료가 전면 무료화되었다.
창원 터널은 국토 해양부 도로 관리청에 의해 지정된 자동차 전용 도로 구간이다. 장유 신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교통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어 2013년 현재 제2 창원 터널의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2012년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따르면 상행 터널의 터널 일 교통량은 5만 8295대이며 하행의 일 통행량은 7만 5584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