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생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046
한자 衣生活
영어공식명칭 the life pertaining to clothes and clothing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희진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의복을 제작·구입·착용·관리·소비하는 것과 관련된 활동 개관.

[개설]

의생활은 의복을 비롯해 일상생활과 의례 등의 특수한 상황에 필요한 여러 가지 복식을 제작·구입·착용·관리·소비하는 활동이다. 1800년대 말 서양 복식이 도입되기 전에는 신분 고하에 따라 복식의 소재와 형태, 종류가 달랐으며 남녀 각각 저고리와 바지, 저고리와 치마를 기본으로 상황과 용도에 따라 포류 등을 덧입어 예와 격식을 갖추었다. 여기에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에 맞춰 겨울에는 방한에 필요한 솜옷과 누비옷을, 여름에는 모시와 삼베로 만든 홑옷을 마련해 입었다. 합성섬유가 등장하기 전까지 무명, 모시, 삼베, 명주를 기본 소재로 활용했으며 직조와 옷짓기 모두 직접 생산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동작구의 의생활 변천]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 연이어 선포된 1894년(고종 31) 갑오의제개혁과 1895년(고종 32) 을미의제개혁은 우리 의생활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면서 서양식 교복과 각종 제복을 비롯한 양복이 일상복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고 복식과 의생활의 서구화가 한층 가속화되었다. 합성섬유가 등장하고 서양 복식 수용이 늘어나면서 한복과 양복이 혼재하는 양상이 더욱 뚜렷해졌다. 서울 동대문과 명동 등 새로운 패션과 의생활의 유행을 선도하는 중심지가 나타나고 1960년대 중반 이후 기성복 생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직접 옷감을 짜거나 옷을 지어 입는 일은 사실상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특히 아동복을 비롯한 기성복의 경우 동작구 근처의 동대문 도소매업 전문 상가가 형성된 후 그 곳에서의 소비가 늘어났다. 1970~1980년대의 급속한 도시화, 1980년대의 국제 행사 유치 경험, 그리고 1990~2000년대에 걸친 도시 개발의 움직임, 서구적 생활방식의 정착과 상품 수입, 대외 무역 확대는 양복의 보편화, 일상화를 이끌었다. 그에 비해 한복의 입지가 일상 영역에서 서서히 좁아져 사실상 의례복의 용도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 전반에서 거의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것으로 동작구도 예외가 아니다. 실제로 2020년 동작구 통계자료의 산업세세분류별 총괄 자료에 따르면 2018년 현재 동작구에서 남녀 겉옷을 비롯해 셔츠 및 블라우스 유아용 의류 및 기타 의복을 소매하는 업소는 386개소이며 이 가운데서 한복 소매업은 오직 1곳 뿐이다.

한편 동작구 흑석동중앙대학교가 자리 잡은 후 젊은 세대의 유입이 활발해졌지만 이들의 의생활은 비슷한 연령대의 관심과 소비가 집중되는 명동, 동대문, 강남 등지로 이어져 지역 내에서의 관련 소비나 생산과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젊은 세대는 복합 쇼핑몰이나 인터넷을 활용한 구매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통의 발달로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에 들어선 지 오래이며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매체를 통한 광고와 소비 패턴의 다양화로 인해 사실상 개인의 의생활에서 생산의 측면은 거의 사라졌고 의복 대부분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역할만 남게 되었다.

의복 관리의 측면도 마찬가지다. 1950~1960년대까지 동작구 한강 변의 비탈진 기슭인 비개 등지는 많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빨래터였으나 이러한 관행은 상수도시설의 완비와 한강정비사업, 세탁기와 다리미 등 의생활 관련 전자제품 보급, 의복 수선과 세탁을 대신하는 세탁소, 기계 세탁과 건조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코인 빨래방 등의 등장에 따라 완전히 사라졌다. 따라서 과거 의생활의 전통적인 특성을 현재 동작구 일원에서 확인하기는 어려우며 동작구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의생활의 면모를 찾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실상 근대 이후의 의생활에서 특수한 의복을 필요로 하는 생업이 존재하지 않는 한, 지역적 편차나 특성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