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형제 죽고 삼정승 낳은 명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207
한자 三兄弟 죽고 三政丞 낳은 明堂
영어공식명칭 Building a parent’s tomb in a great location that three grandsons would be ministers instead of dying three sons
이칭/별칭 삼형제 죽고 삼정승 날 명당,명당 발복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3년 4월 10일 - 「삼형제 죽고 삼정승 낳은 명당」 마을 주민 김홍득[남, 75세]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 「삼형제 죽고 삼정승 낳은 명당」 『동작구지』에 수록
채록지 상도1동 노인정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1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민담
주요 등장 인물 삼형제|막내 며느리|세 쌍둥이|삼정승
모티프 유형 명당 발복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서 삼형제가 죽은 대신 삼정승을 낳게 할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개설]

「삼형제 죽고 삼정승 낳은 명당」은 명당 자리를 추천 받은 삼형제가 자신들의 죽음을 댓가로 치뤄서라도 가문에 삼정승을 낳게 한다는 명당을 묘자리로 썼다는 민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삼형제 죽고 삼정승 낳은 명당」은 1993년 4월 10일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1동 노인정에서 진행된 현지 조사에서 마을 주민 김홍득[남, 75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으로, 1994년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간행한 『동작구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아들 삼형제를 둔 부친이 지관에게 풍수적으로 명당인 묘자리를 추천받았다. 추천 받은 묘자리는 가문에서 세 명의 정승이 나는 경사를 맞이하지만 대신 아들 대의 삼형제가 다 죽어야 하는 묘자리였다. 이를 들은 삼형제가 가문을 위하여 그 자리에 부친을 모셨는데 그 후 큰아들과 둘째 아들이 한 달 간격으로 연달아 죽었다. 막내 아들은 곧 자기 죽음이 다가옴을 알고는 죽기 전에 팔도 구경이나 해야겠다며 길을 떠났다. 우연히 유숙하게 된 집에서 처녀와 동침을 한 후 막내 아들도 곧 죽었는데, 막내 며느리가 낳은 세 쌍둥이가 결국 삼형제의 후사를 잇게 되었고 이들이 훗날 삼정승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모티프 분석]

「삼형제 죽고 삼정승 낳은 명당」의 주요 모티프는 ‘명당 발복’으로, 복을 갖고 오는 명당 자리를 차지하기 위하여 개인이 희생하는 이야기이다. 삼형제가 모두 목숨을 잃는 큰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후손이 입신출세하고 영달하여 가문 차원의 명예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가문 중심의 사고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