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봉 지명 유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250
한자 國思峰地名由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국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9월 30일 - 「국사봉 지명 유래」 『동작구지』에 수록
관련 지명 국사봉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지도보기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관악구의 경계에 있는 국사봉의 지명 유래담.

[개설]

「국사봉 지명 유래」는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관악구의 경계상에 있는 산으로, ‘국사봉’(國思峰) 혹은 ‘국사봉(國師峰)’으로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국사봉 지명 유래」는 1994년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발행한 『동작구지』 등에 수록되어 있으며, 2018년 발행된 『동작뉴스』 기사 등에 ‘국사봉(國思峰)’ 혹은 ‘국사봉(國師峰)’으로 불리는 자료 등이 남아 있다.

[내용]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관악구의 경계상에 있는 산으로 ‘국사봉(國思峰)’ 혹은 ‘국사봉(國師峰)’으로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

먼저 국사봉(國思峰)으로 불리는 이유는 양녕대군(讓寧大君)[1394~1462]이 산의 봉우리에 올라 동생인 세종(世宗)[1397~1450]과 나라를 걱정했다 해서 ‘생각 사(思)’를 붙여 ‘국사봉(國思峰)’이라 불렀다는 것이다. 비록 왕의 자리를 동생에게 물려준 뒤 대궐에서 쫓겨났지만 세종이 형인 양녕대군을 위하는 마음과 양녕대군세종을 위하는 마음 등 우애 깊은 형제의 얘기가 『조선왕조실록』에 자주 나오는 것도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다른 하나는 무학대사(無學大師)[1327~1405]가 국사봉 아래 사자암을 지었기 때문에 무학대사를 국사로 보고 ‘국사봉(國師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다. 관악산 줄기인 삼성산 일대에 남아 있는 무속신앙 등을 살펴 볼 때 마을을 수호하는 신을 모시는 국사당(國師堂) 혹은 성황당(城隍堂)이 있는 봉우리라는 뜻의 ‘국사봉(國師峰)’이라고 불렸을 개연성도 있다. 국사봉 일대는 신점, 신굿 등 오랫동안 무속신앙인들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1872년 편찬된 시흥현지에는 사자봉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봉우리에 사자암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2.09 내용 수정 국사봉 지명유래에 대한 두 가지 설에 대해 단정적 판단 내용 수정하고, 시흥현지에 사자봉으로 기록된 내용 추가 작성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