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릉대도호부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130
한자 江陵大都護府使
영어의미역 Governor of Gangneung Daedohobu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관직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임호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1389년(공양왕 1)연표보기 - 강릉:강릉대도호부사 임명
폐지연도/일시 1896년(고종 33)연표보기 - 강릉:강릉대도호부사 폐지
소속관서 강릉대도호부
관품 정3품
정원 1명

[정의]

조선시대 강릉대도호부 내의 최고 관장(官長).

[개설]

강릉은 하슬라(何瑟羅), 하서량(河西良) 등으로 불리다가 신라 선덕왕(善德王)이 소경(小京)을 설치하였으며, 경덕왕(景德王) 16년에 명주(溟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태조 19년에는 동원경(東原京)으로 편제되었으며, 성종(成宗) 2년에 하서부(何西府), 동왕 5년에 명주 도독부(溟州都督府), 동왕 11년에 명주목(溟州牧), 동왕 14년에 명주 단련사(溟州團鍊使), 원종(元宗) 원년에 공신 김홍취(金洪就)의 관향이라 하여 경흥 도호부(慶興都護府)로 승격되었다. 충렬왕(忠烈王) 34년에 강릉부(江陵府)로 편제되고, 1389년(공양왕 1)에 강릉 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로 승격되면서 강릉 대도호부사를 설치하였다.

[담당 직무]

강릉대도호부사강릉대도호부를 전체적으로 관장하는 수령관으로서 판관(判官)·사록(司錄)을 휘하에 두고, 군정(軍政), 부역(負役), 호구(戶口), 송사(頌辭)에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관등 체계의 특징]

강릉대도호부사는 정3품 당상관이면서 문관이 임명되는 것이 원칙이나 간혹 정3품 당하관 또는 무관이 임명된 경우도 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음직 출사자가 많이 임명되었다. 그리고 강상죄와 역적 연루자가 있다는 이유로 두 번에 걸쳐 강릉대도호부사가 강릉 현감으로 강등되었다.

[변천]

강릉은 대도호부로 승격된 이래 조선 세조 대에 진관 체제가 정비되면서 삼척 도호부와 양양 도호부 등 2개의 부(府)와 평해, 간성, 고성, 통천 등 4개의 군(郡)과 울진, 흡곡 등 2개의 현(縣)을 통할하게 되었다. 강릉 대도호부는 조선 후기 박옥지 사건과 역적 이택징의 고향이라는 연유로 강릉현으로 강등되어 현감이 재임하였다. 1896년(고종 33)에 조선의 팔도 체제가 폐지됨에 따라 강원도는 두 개의 부로 나뉘어 강릉과 춘천에 관찰사를 두었다가 이듬해에 13도제로 편제됨에 따라 강릉부는 강릉군이 되고 강릉 군수가 임명되었다.

[관련기록]

강릉대도호부에서 작성한 『강등대도호부선생안』이 전하며,『임영지(臨瀛志)』, 『증수임영지(增修 臨瀛誌)』, 『강릉부지』 등의 읍지에 역대 관원의 재임 기간과 행적이 소략하게 전해진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이** 관등체계의 특징에서
간혹 정3품 당하관 또는 무관이 임명된 경우도 있다. 를
간혹 종3품 당하관 또는 무관이 임명된 경우도 있다. 라고 고쳐야 하지 않을까요?
아니면 정3품하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민원과 관련하여 정3품은 당상과 당하고 구분되고, 정3품당상관이 임명되는 원칙과는 달리 정3품당하관이 임명된 예도 있다는 설명에 대해서 오류가 없으므로 귀하의 민원요청을 기각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10
최** 그리고 잘못써진 임영지(동호노인편) 증수임영지를 다시 쓰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강릉대도호부를 세계시민에게 공개하려면 옳바른 역사를 찾아놓고 진행하는것이 순서라고 보며 일제강점기에 써준 증수임영지만 번역하여 여과없이 시민들께 공개한 책임자들은 마땅히 응분의 책임(매우 가벼운 책임)을 물어 잘못된 역사를 청산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2014.12.10
최** 강릉대도호부의 역사는 785년 김주원공의 입강시대부터 진행됩니다.
즉 785년 이전의 역사를 추적하여 보았습니다.
그 주소를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예국고성을 이렇게 복원하자"
http://blog.naver.com/cdsdcc/220205929950
2014.12.1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