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1985
한자 喪禮
영어의미역 Funeral Rites
이칭/별칭 상장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집필자 노성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장례
의례 시기/일시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정의]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를 지내는 예법.

[개설]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를 말한다. 즉 죽음을 맞고 그 주검을 갈무리해 장사를 지내고, 근친들이 죽은 이를 슬픔을 다해 기리는 의식까지를 말한다. 상례는 보통 죽음을 현실로 수용하는 초종례부터 시신을 처리하는 습과 염의 의례,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과 매장에 따르는 의례, 상주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부터 탈상까지의 과정으로 구분된다. 창원 지역의 상례는 주자가례에 의한 유교적 의례가 위주가 되지만 동시에 불교와 민간 신앙의 요소가 공존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는 신라·고려 시대에 걸쳐 불교와 유교의 양식이 혼합된 상례가 행해졌다. 그러나 고려 후기부터는 『주자 가례(朱子家禮)』의 영향으로 유교식 상례가 성행하였다. 근대 이후로는 유교식 의례가 주가 되면서도 종교적 입장에 따라 불교 또는 천주교식 상례 등이 공존하고 있다.

상례의 변천으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장례를 치르는 장소가 망자의 집에서 장례식장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의 절차 등이 전문적인 직업인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상복도 장례식장에서 구입해 입게 되었으며, 종교를 불문하고 검은색 양복이나 한복을 입는 경우도 늘고 있다.

관과 기타 장의에 관계된 일체의 물건과 음식 등도 장례식장이나 상조회라는 직업적 일꾼의 손을 빌려 해결하고 있다. 염습과 입관도 과거에는 사망 다음 날에 진행했으나 요즘은 사망 당일에 행하고 바로 조문객을 받는다. 따라서 요여·상여·만장 등이 등장하는 장례는 농촌 지역에서나 극히 드물게 볼 수 있으며, 현재는 영정과 운구 차량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특히 봉분을 만드는 묘지 방식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합봉을 하거나 돌집으로 된 납골당을 설치하는 등 묘지의 형태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납골당이 흙으로 만든 봉분보다 영구적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수목장(樹木葬)이나 풍장(風葬)도 새로운 묘지 제도로 제기되고 있다.

[절차]

창원 지역의 전통적인 상례 절차는 크게 초종(初終), 장송(葬送), 상제(喪祭) 의례로 나누어진다.

1. 초종

초종 의례는 수시(收屍), 고복(皐復), 부고(訃告), 소렴(小殮), 대렴(大殮), 입관(入棺)의 절차로 행한다. 임종 때가 되면 안방이나 본인이 사용하던 방으로 옮겨, 깨끗한 옷을 입히고 인중 위에 새 솜을 얹어 숨이 끊겼는지 확인한다. 이것을 속광이라 하는데, 창원 지역에서 이 일은 경험이 많은 집안 어른이 주로 맡는다.

임종이 확인되면 복(復)을 하는데, 망자와 친분이 있는 집안사람이 망자의 상의를 가지고 지붕 위에 올라가 ‘아무개복’을 세 번 부른다. 창원시 사화동에서는 이 옷을 지붕에 걸쳐 두었다가 입관할 때 내려서 관 안에 넣기도 하고 초상날 상여가 나간 후 동구 밖에서 태우기도 한다.

초혼 후에는 바로 사잣밥을 마련한다. 사잣밥은 상 위에 밥과 짚신, 돈을 올려 대문 밖에 내놓는 것인데 저승 사자를 대접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해야 저승 사자가 망자를 좋은 곳으로 인도한다고 믿었다. 성복 후에는 사잣밥을 거둔다. 상인(喪人)들이 머리를 풀고 옷을 갈아입고 곡을 시작한다. 병풍으로 시신을 가리고 촉대와 향상을 차리고 평상시와 같이 음식을 올린다.

상주와 주부를 세우고 집안 어른 중에 경험이 있는 자를 호상으로 정하여 상례를 담당시킨다. 전(奠)을 설치하는데, 주과와 메를 시신의 어깨 부위에 진설한다. 부고를 전달하는데, 이 부고는 집안으로 들이지 않고 대문밖에 꽂아둔다.

관을 마련하여 치관(治棺)한다. 주로 소나무나 버드나무를 쓰고 옷과 송진으로 봉한다. 관 안에는 북두칠성처럼 구멍을 뚫은 칠성판을 깔고 그 위에 출회를 덮고 시신을 안치한다. 창원시 사화동에서는 망자가 생기지 않아도 나이 많은 어른이 있는 집의 사랑방에 관재를 보관하는 일이 있었다. 그 이유는 나무가 귀했기 때문에 미리 좋은 관재(棺材)를 장만하여 다듬어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시신을 목욕시키고 염습을 하고 영좌를 설치하고 혼백을 모시며, 명정을 세우는 절차를 소렴이라 한다. 시신을 묶어 입관하는 것을 대렴이라 한다. 대렴 후에는 제상을 차린다. 제상 위에 혼백이 담긴 상자를 두는데, 상자 안에는 백지에 쓴 지방을 넣는다. 식사 때가 되면 평상시와 같이 제상에 음식을 올리고 이때마다 곡을 한다.

옛날에는 유월장(踰月葬)이라고 해서 한 달, 길게는 석 달이나 걸려 장사를 치르기도 했다. 창원시 북면 중방 마을에서는 입관 후 관 위에 모래를 얹어 내빈위를 사랑방에 설치하고, 마당 텃밭에는 가매장을 하여 안치하는 외빈위를 설치했다. 장례 기간이 길어 시신이 부패하기 때문에 생긴 풍습인데, 현대는 사라진 장례 형식이다.

2. 장송

장송 의례는 발인(發靷), 출상(出喪), 설전(設奠), 하관(下棺), 성분(成墳), 반혼(返魂) 등으로 되어 있다. 대렴을 마치면 각자의 복제에 따라 상복으로 갈아입는다. 성복제를 지내는데, 평상시 음식을 쓰기도 하지만 주로 제사 음식과 같이 차린다. 상제가 단잔을 올리고 가족과 친인척들이 배례를 하는 발인제가 끝나면, 발인 축문을 읽고 나서 상여꾼들이 음식을 나누어 먹고 요여를 앞세워 상여가 나간다.

이때 상여가 대문을 나서면 복을 한 옷을 태우고 큰 소리가 나게 그릇을 땅에 내리쳐 깨뜨린다. 창원시 상남동에서는 상여가 문을 나서서 장지로 향할 때 연고 있는 곳을 지나면 친구나 친지 등 직계 아닌 사람이 노제를 지내준다.

묘지를 파기 전에 산신제를 지내고, 하관 후에 평토제를 지낸다. 평토제를 지내고 나면 상주들은 요여를 앞세우고 반곡(反哭)을 한다. 이것을 반우라고도 한다. 곡을 하면서 집으로 돌아오면 여자 상주들은 문밖에서 곡을 하며 맞이한다. 신주를 영좌에 봉안하고 혼백 상자와 복의는 신주 뒤에 둔다.

3. 상제

장례 절차가 끝나면 각각의 시기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상제라 한다. 신주를 영좌에 봉안하고 초우제를 지내고, 다음날 아침 재우제, 3일 아침에 삼우제를 지낸다. 삼우제를 지낸 뒤 돌아가신 지 한 달 되는 날에 졸곡제를 지낸다. 졸곡제를 지내고 나면 곡을 하지 않는다. 초하루와 보름에 지내는 것을 삭망제라고 한다. 근래에는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치르면서 집에서 상제를 갖추어 지내지 않고 절에서 49제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창원 지역에서는 집 밖에 있어 부모의 임종을 지켜보지 못한 자식이 마을로 들어서면 동구 밖에서 신을 벗어들고 곡을 하며 달려서 집으로 들어온다. 이것은 신을 신을 겨를도 없이 부모의 임종을 당해 달려 온다는 뜻이다. 집에 도착하면 대문 앞에 덕석을 깔고 머리를 풀어 곡을 하고 집으로 들어온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