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상남 영화 제작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5092
한자 上南映畵製作所
이칭/별칭 상남 라보라토리, 상남 라보, 리버티 프로덕션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52년연표보기 - 상남 영화 제작소 진해에서 이전
해체 시기/일시 1967년 - 상남 영화 제작소 서울 남영동으로 이전
최초 설립지 상남 영화 제작소 설리지 - 경상남도 창원군 상남면 용지리
성격 미공보원 영화과 산하 영화 제작소
설립자 윌리엄 릿지웨이(William G. Ridgeway)[초대 소장]

[정의]

경상남도 창원군 상남면 용지리에 있었던 미국 공보원 영화과 소속 영화 제작 부서.

[개설]

상남 영화 제작소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즉 ‘상남 라보라토리(Laboratory)’ 또는 이를 줄여 ‘상남 라보’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그리고 1952년 5월 16일부터 이곳에서 『리버티 뉴스』가 제작·상영되기 시작한다. 『리버티 뉴스』가 지닌 막강한 영향력 때문에 많은 사람은 미 공보원 상남 영화 제작소를 ‘리버티 프로덕션’으로 기억하기도 한다. 미 공보원 상남 영화 제작소의 활약은 뉴스 영화의 제작에만 그친 것이 아니었다. 문화 영화의 영향력도 그에 못지않았다. 이러한 까닭에 당시의 창원군 상남면은 ‘한국 영화의 메카’ 또는 ‘작은 할리우드’, 그리고 한국 영화 제작 인력들을 위한 ‘모션 픽쳐 아카데미’ 등으로 불리었다

[설립 목적]

미군정은 1947년 선전 활동의 효과적인 수행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미 군정 공보국[OCI: Office of Civil Information]을 설치하였고, 한국 정부 수립 후인 1949년에는 공보국을 국무성의 지휘를 받는 미 공보원[USIS]으로 개편하였으며, 1953년에는 미 공보원을 미국 공보처[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USIA] 소속으로 변경시키면서 대내외적 선전 활동의 기능을 집중시킬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변천]

미 공보원이 경상남도 지역으로 이전해 온 시기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것으로 확인된다. 즉 한국전쟁의 발발로 인해 미 공보원 산하 영화 제작소는 진해로 거점을 옮긴 후, 영화 제작에 필요한 시설을 마련하게 된다. 참고로 미 공보원 영화과는 한국전쟁 이전부터 서울 을지로 1가 반도 호텔 맞은편에 근거지를 둔 영화 회사를 등록하고 제작과 상영 활동을 해왔었다. 한국전쟁의 직접적인 전화를 피하고자 진해로 오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작 인력은 열차를, 기자재는 배편을 이용해 이전되었다.

부산을 거쳐 진해에 도착한 일행은 소규모의 정보 센터를 스튜디오로 활용하게 된다. 상남 영화 제작소 초대 소장이었던 릿지웨이에 따르면, 이 정보 센터는 전 일본 해군 장교 클럽이었다. 이 건물은 전형적인 일본식 형태였고, 문들의 경우 창호지를 바른 미닫이문이 대부분이어서 화재에 무방비 상태였다고 한다[영화 제작에 있어 매우 위험한 환경].

이와 같은 진해 시설의 인적·물적 재정비를 통해 매주 뉴스릴을 제작할 수 있었고, 이때부터 미국 필름의 한국 적용이 시작된다. 릿지웨이는 진해에 있는 미 공군 기지에서 16밀리 필름과 필름 자동 처리기(automatic film processing machine)를 빌려와 필름의 인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진해에서 제작된 것은 ‘한국 늬우스’라는 제호의 부정기적인 뉴스 영화뿐이었다. 즉 미 공보원의 뉴스 및 문화 영화 제작은 당시의 ‘창원군 상남면’에서 본격화된다. 미 공보원의 영화 제작 시설이 창원의 상남면으로 이전하게 된 때는 1952년 초였다.

한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미 공보원의 영화 제작 시설이 진해에서 창원으로 이전하게 된 계기를 공산주의자들의 시설에 대한 위협에서 찾는다. 즉 부산과 인접한 진해는 북한군의 접근 가능 지역이었으므로 더욱 안전한 지역으로의 이전이 불가피하였다는 것이다.

릿지웨이의 구술 증언에 따르면, 릿지웨이는 창원군상남면에서 영화 제작 시설의 이전에 적합한 환상적인 빈 건물을 발견하였다고 말한다. 이 건물의 규모는 45m×15m 정도였고[총 건평 500여 평], 콘크리트로 된 2층 건물이었다[전 일본 해군 통신 본부 총사령부 건물]. 당시 이러한 형태의 건물은 매우 희귀한 것이었다고 한다.

릿지웨이는 미 육군 공보부로부터 2만 5000달러를 지원받아 이 건물에 완벽한 방음이 되는 음향 무대를 구축하고, 화재 예방 장치를 갖추는 등 새로운 시설로 탈바꿈시킨다. 그리고 1953년 한국 해군으로부터 10년간 무상으로 이 건물을 임대받게 된다. 이후 이 임대는 1967년까지 연장된다.

이후 상남 영화 제작소는 『리버티 뉴스』의 제작 중지[1967]를 계기로 모든 시설을 서울로 이전하여 당시 남영동에 있던 미 공보원 영화과 건물 내에 새로 마련된 스튜디오에 이를 설치하고 문화 영화 제작에만 전념하게 된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6·25 전쟁의 발발[1950년] 이전 미 공보원이 발간한 영화의 종류와 편수 등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1945년부터 46년 사이에 공보부는 총 26편의 뉴스 영화와 미 군정의 활동을 담은 기록 영화 7편을 제작했을 뿐이다. 미 공보원의 영화가 실질적으로 대중적인 영향을 지니면서 확산한 시기는 한국전쟁 직후부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전시였던 1950년 말 미 공보원의 영화 제작소가 경남 진해로 이전해오면서 본격화된다. 문화 영화의 경우, 앞에서 살펴본 바처럼 1950년대 당시 미 공보원이 제작한 문화 영화의 편수가 수 백 편에 달함을 고려한다면 영화를 통한 이들의 대중 매체 정책이 거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두 가지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당시 국내의 경우, 대중 매체의 확산은 매우 지체된 상황이었다. 1960년대 중반까지도 텔레비전 방송이 갖는 영향력은 영화보다 매우 미약하였다. 1961년의 경우, 남한 정부가 제작한 영화의 배포 범위는 미 공보원에 비해 25%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이 당시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상영된 일반 장편 영화의 편수 등과 비교해보아도 미 공보원 제작의 영화가 지닌 영향력은 압도적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1946년부터 1964년까지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상영된[제작이 아님] 총 영화 편수는 88편이다. 그러나 창원의 상남 영화 제작소에서 만든 ‘한국’ 주제 관련 영화만 해도 비록 중복 집계가 되고 있지만, 1950~1960년대에 걸쳐 거의 두 배를 상회하는 166편이다. 그리고 뉴스영화인 『리버티 뉴스』 1952년부터 1967년까지 매주 한 차례 제작, 상영되었다.

[의의와 평가]

영화를 통한 기억의 재현은 단순한 회고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재현이 지니는 사회 문화적 의미를 보다 풍성하게 할 수 있다. 즉 1950~1960년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고 과거사 문제를 대중적 논의로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1950년대 경상남도 마산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편의 미 공보원의 영화[1955년의 「거리의 등대」와 1958년의 「지방신문 편집자」]를 특정한 이데올로기의 입장에서만 조망할 것이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이를 어떻게 문화적 자원과 자양분으로 전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장래을 갖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