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진해 청천진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236
한자 鎭海晴川陣址
이칭/별칭 청천보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진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56년 8월 - 청천진 경상남도 김해시 청천면 일대에서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청천 마을로 이동
소재지 진해 청천진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청천 마을 지도보기
성격 수군진터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청천 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수군 별장진터.

[개설]

『웅천현 읍지(熊川縣邑誌)』에 의하면, 청천진(晴川陣)웅천현[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의 옛 고을 이름] 동쪽 20리 지점에 있으며, 별장(別將)이 거느리는 전선[판옥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伺候船) 2척이 배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청천진의 ‘진’은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조선왕조실록』에 모두 ‘진(鎭)’으로 쓰여 있으나, 『웅천현 읍지』, 『호구 총수(戶口總數)』, 규장각의 『비변사인 방안 지도(備邊司印方案地圖)』에는 ‘진(陣)’으로 되어 있다. 청천진이 처음에는 내륙 지역의 소모진(召募陣)으로 출발하였으나, 뒤에 해변으로 옮겨져 군선이 배치된 수군 별장진(別將鎭)이 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변천]

청천진이 설치된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다만 『웅천현 읍지』에 따르면, 조선 시대에 공신에 관한 사무를 보던 관아인 충훈부(忠勳府)에서 별장을 둔 곳으로서, 김해 청천면에 있던 청천 소모진이, 1656년(효종 7) 8월에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청천 마을로 옮겨왔다고 한다.

소모진의 기원은 임진 왜란 때 국가의 비용이 부족하고 또 군사들을 보내기 어려운 요충지들에 민간에서 자원하여 선박이나 장정들을 모아 방어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공식적으로는 1600년(선조 33)에 사도 도체찰사(四道都體察使) 이원익(李元翼)[1547~1634]이 남쪽 지방을 순시하면서, 울산·동래·창원 세 곳에 소모진을 설치하고, 임시로 별장을 두어 거느리게 하였던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수군의 제도 가운데 중요한 변화의 하나는 종 4품 만호 아래에 종 9품 권관과 별장 등이 주관하는 진들이 많이 생겨났다는 점이다. 이것은 새로 생긴 진들이 만호를 파견하기에는 그 지위와 역할이 낮았기 때문이다. 별장은 지방의 산성·나루·포구·보루·작은 섬 등의 수비를 맡은 무관으로, 산성 별장(山城別將)·소모 별장(召募別將)·진도 별장(津渡別將) 등으로 호칭되었다. 소모진의 임시 관직명으로 불리던 별장이 조선 후기에 정식 관직명으로 변화되었던 것이다.

수군 별장진이 정확히 언제부터 설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1624년(인조 2)에 고군산도 별장진이 설치되었다는 『증보문헌비고』의 기사를 참조해 볼 때, 17세기 초부터는 설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청천 수군 별장진이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승정원 일기』 1719년(숙종 45) 10월 기사로, 청천진의 전선이 화재로 불타버렸다는 내용이다. 청천 수군 별장진은 장목포·신문·남촌·풍덕포·구소비포·섬진 별장진과 함께 『속대전(續大典)』에 수군진으로 수록되었다.

청천 수군 별장진이 언제 폐쇄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1864년(고종 1)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청천보(晴川堡)가 보이고, 1865년(고종 2)에 편찬된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청천 별장이 혁파되었다 하였다. 또 1866년(고종 3)에 간행된 『웅천현 읍지』에도 청천진이 혁파되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고종 초기에 폐쇄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위치]

진해 청천진지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청천 마을에 있다. 청천 마을진해구 성내동에 있는 ‘웅천 읍성’으로부터 큰 길따라 동쪽으로 9.2㎞ 거리의 안골만 북동쪽 해변에 있다. 『비변사인 방안 지도』에 따르면, 웅천읍성으로부터 청천진까지는 25리[약 9.8㎞], 안골포진(安骨浦鎭)까지는 27리[약 10.6㎞], 신문진(新門鎭)까지는 29리[약 11.4㎞]로 나와 있다.

[현황]

청천진지가 있는 청천 마을의 이름은 이곳에 청천진이 설치됨으로부터 비롯되었다. 마을 앞 포구에 조선 시대 선박의 정박을 목적으로 만든 굴강(掘江)의 흔적은 없으며, 근세에 방파제가 조성되었다. 마을 사람들이 방파제 동쪽 포구를 옛날에는 굴강(掘江)이라 불렀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여기에 전선이 정박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청천 마을은 안골만 내의 북동쪽 해변에 위치하여, 안골만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 안골포 굴강·안골포 진성·안골 왜성 유적을 마주하고 있다. 청천 마을 북동쪽 바로 뒤에는 원래 높이 125m의 장영산이 있었는데, 1990년대에 ‘명지·녹산 국가 산업 단지’를 조성하면서 산을 헐어 바다를 메웠다. 장영산이 있었던 자리에는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섰다. 청천 마을의 바로 옆 동쪽에는 진해구 용원동 신시가지가 들어섰다.

청천 마을에는 도(都)씨의 후손들이 ‘도미 무덤’이라고 주장하는 보통 토분보다 조금 큰 무덤이 있었다. 도미는 『삼국사기』 열전에 나오는 인물이다. 고증이 부족하여 2013년 현재 무덤이 철거된 상태이며, 그 자리에는 큰 식당이 들어서 있다.

[의의와 평가]

청천진은 17세기에 김해 청천면에 설치된 소모진으로 시작하였으나, 얼마 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청천 마을로 옮겨와서 여기서 2세기 동안 존속하였던 수군 별장진이다. 청천진이 있었던 진해구 안골만 내에는 이미 조선 초기에 안골포진이 설치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 안골포진으로부터 동·서쪽에 불과 2리[약 0.8㎞] 간격으로 각각 청천진과 신문진이 설치되었다. 좁은 안골만에 이처럼 3개의 수군진이 배치된 것은 원래의 소모진과 안골만이 서로 가까워 이동이 편리하다는 이유도 있었지만, 안골만이 방어의 요해지였기 때문이다. 안골만 부근 바다는 예로부터 많은 왜선들이 통행하는 곳이었으며, 안골만 인근의 제포에는 조선 초기 개항지로서 왜관이 설치되어 있었다.

진해 청천진지에는 현재 기념할 만한 시설이 없다. 일반인들이 유적지로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곳이지만, 인근의 수군진들과 함께 임진왜란 이후 여러 수군 관방(關防)이 한곳에 집중된 특별한 사례를 보여 주는 역사의 현장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