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50
한자 翰墨淸玩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한묵청완 건|한묵청완 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40호|제509-4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한묵청완 건|한묵청완 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한묵청완』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한묵청완』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509-40호(乾)|제509-41(坤)로 지정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
작가 김생 외 45인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서첩.

[개설]

『한묵청완(翰墨淸玩)』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한묵청완』은 그 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40호|제509-4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한묵청완』은 건(乾)·곤(坤) 두 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32쪽으로 구성된 건첩은 신라 시대의 명필 김생(金生)[711~191]이 쓴 사경(寫經)을 비롯해서 조선 초기의 인물인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1420~1488], 비해당(匪懈堂) 이용(李瑢)[1418~1458], 그리고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1572]에 이르기까지 15세기와 16세기에 활동하였던 비교적 조선 시대 전반기에 활동하였던 주요 인물 23인의 유묵이 실려 있다. 34쪽으로 이루어진 곤첩은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1517~1563],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1515~1590]을 비롯해 백호(白湖) 임제(林悌)[1549~1587]에 이르기까지 주로 16세기에 활동하였던 23인의 유묵을 싣고 있다. 따라서 『한묵청완』 두 첩에는 모두 46인의 유묵을 싣고 있다. 크기는 두 첩 모두 32㎝×21㎝이며 보관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한묵청완』에 실린 유묵들은 15세기와 16세기를 대표하였던 인물들의 작품이 대부분이다. 누가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는 알 수 없다. 그런데 서첩의 여러 곳에 ‘상고당(尙古堂)’이라는 작은 당호(堂號)의 도서인(圖書印)이 찍혀있어서 유묵을 모아 서첩으로 만든 이가 ‘상고당’과 관련된 사람이 아닐까 하고 추측되고 있다.

‘상고당’과 관련된 가장 먼저 추정할 수 있는 있는 인물은 조선 후기의 화가이자 서화고동(書畵古董) 감식가 및 수장가로 이름을 떨친 김광수(金光遂)[1696~?]를 떠올릴 수 있다.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성중(成仲)이고 ‘상고당’은 호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김동필(金東弼)[1678~1738]의 아들로, 1729년 진사가 되고 벼슬은 부사를 지냈다. 빈양노인(濱陽老人)의 『상고당김씨전(尙古堂金氏傳)』과 신유한(申維翰)이 쓴 『상고당자서후제(尙古堂自敍後題)』에 의하면, “집안에 모은 고서화와 진기(珍器)는 모두 천하명품이며 고시문(古詩文) 등도 천하의 기서(奇書)인데 뜻에 맞는 것이 있으면 가재를 기울여 비싼 값으로 구입하였다”라고 했으며 김광수의 “감식은 신묘했다”라고 했다. 또한 박지원(朴趾源)은 그를 가리켜 “감상지학(鑑賞之學)의 개창자”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런 김광수가 수집했던 유묵이라면 그 만큼 충분히 가치를 지닌 진본일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광수는 그림으로도 이름을 떨쳤는데 유작(遺作)으로는 전칭작(傳稱作)[작가의 이름이 없지만 학자 등에 의해 그의 것으로 확인된 작품]으로 화조(花鳥)와 초충(草蟲) 4점[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