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51
한자 翰墨林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한묵림 천|한묵림 지|한묵림 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42호|제509-43호|제509-4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한묵림 천|한묵림 지|한묵림 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한묵림』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
작가 이황 외 64인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시서첩.

[개설]

『한묵림(翰墨林)』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총독(總督)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유물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한묵림』은 그 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42호(天), 제509-43(地) 제509-44(人)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한묵림』은 천(天)·지(地)·인(人) 3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에는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1531~1598] 등 23인이 쓴 시와 편지 등 23점, 지에는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1561~1637],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 등 19인이 지은 20점의 편지와 시 그리고 인에는 동강(東岡) 조상우(趙相愚)[1640~1718], 서곡(西谷) 이정영(李正英)[1616~1686] 등 20인이 쓴 21점의 편지 및 시가 실려 있다. 따라서 『한묵림』 세 첩에는 모두 63인이 쓴 편지와 시 64점이 실려 있다. 크기는 세 첩 모두 24㎝×15㎝이고 포갑(包匣)에 쌓여져 있다. 포갑에는 상아로 된 단추가 두 개 달려 있으며 보관 상태는 아주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한묵림』에는 시와 편지가 서로 섞여 있다. 64점 중 편지가 48통으로 가장 많고 시는 15편이다. 나머지 한 점은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가 쓴 것인데, 다음의 내용만 남아 있다. “…무엇이 있는가? 응룡(應龍)이 집에서 지내는 것을 읊었다. 용이 산림에 뜻을 둔 것을 여기서 볼 수 있다. 공이 청부(靑鳧)[지금의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집에 있으므로 썼다.[…有何 應龍詠居家 龍之有志於山林 於此可見 公自靑鳧棄官居家 故書耳]”. 아마도 ‘응룡’이라는 사람을 위해 시를 쓴 것 같은데 본문은 없고 그 시를 쓴 경위만 남아 있다. 『한묵림』에 실린 편지와 시들은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작성되었고 필자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