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55
한자 韓濩氏法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한호씨법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4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한호씨법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한호씨법첩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
작가 한호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서첩.

[개설]

한호씨법첩(韓濩氏法帖)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총독(總督)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유물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한호씨법첩은 그 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4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한호씨법첩석봉(石峯) 한호(韓濩)[1543~1605]의 서첩이다. 모두 30쪽, 크기는 35㎝×19㎝이며 보관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한호씨법첩한호가 쓴 초서(草書), 행서(行書), 해서(楷書) 등 다양한 서체를 모은 서첩이다. 서첩에는 한호가 47세 때인 1589년(선조 22) 3월 하절사 겸주청사(夏節使 兼奏請使)로 연경(燕京)으로 가는 윤서장관(尹書狀官)을 위해 쓴 송별시[奉別尹書狀夏節兼奏請赴京]와 송도(松都) 12경을 두고 지은 시 4수[紫洞晴霞, 黃郊返照, 朴淵懸瀑, 滿月荒臺] 등이 실려 있다.

한호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1418~1458], 자암(自庵) 김구(金絿)[1488~1534],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명필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사람이다. 본관은 삼화(三和), 자는 경홍(景洪)이며 석봉(石峯)은 호이다. 1567년(명종 22) 진사시에 합격한 이후, 글씨로 이름을 떨쳐 국가의 주요 문서나 명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 등을 정서(正書)하는 사자관(寫字官)을 지냈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書寫官)으로 자주 따라갔다. 그리하여 한호는 예술적인 타고난 재질을 발휘하기 보다는 주어진 틀에 맞추려고 노력하였다. 때문에 『동국금석평(東國金石評)』에는 한호에 대해 “모든 글씨체에 숙달되기는 하였으나 속되다”라고 비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비록 예술적인 면은 덜하더라도 한호로부터 국가의 문서를 다루는 사자관의 특유한 서체, 즉 사자관체(寫字官體)가 창출되고 사자관 제도가 만들어질 만큼 한호의 영향은 컸다. 이러한 사자관 서체를 중국에서는 간록체(干祿體)라고 한다. 한호는 조선 초기부터 성행하던 조맹부(趙孟頫)의 서체를 따르지 않고 왕희지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벼슬은 흡곡현령(歙谷縣令)과 가평군수(加平郡守)를 지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