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6130 |
---|---|
한자 | 馬山法成寺神衆幀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북로 21-20[회원동 139-1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배상현 |
제작 시기/일시 | 1785년![]() |
---|---|
이전 시기/일시 | 1950년 - 「마산 법성사 진중탱」 장유암에서 신불사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53년 - 「마산 법성사 진중탱」 신불사에서 해인 대학 대각원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60년 - 「마산 법성사 진중탱」 해인 대학 대각원에서 법성사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8년 5월 22일![]() |
현 소장처 | 법성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북로 21-20[회원동 139-17]![]() |
성격 | 불화[신중탱] |
작가 | 영수(永修) |
서체/기법 | 채색화 |
소유자 | 법성사 |
관리자 | 법성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45호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의 법성사 대웅전 향우측 불단에 봉안되어 있는 신중탱.
[개설]
마산 법성사 신중탱은 법성사 대웅전 우측 불단에 봉안되어 있으며, 비단으로 이루어진 액자 형태의 화면에 조익관을 쓰고 합장한 모습의 동진 보살을 주존으로 좌우에 신장권속을 묘사한 신중도이다.
[형태 및 구성]
마산 법성사 신중탱은 원래 경상남도 김해시의 장유암에 봉안되어 있던 것을 1950년 6·25 전쟁 직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 있는 신불사를 거쳐 1953년 현재의 경남 대학교 전신인 해인 대학 내 대각원으로 이봉되었다가 다시 1960년 법성사로 이봉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크기는 가로 122.8㎝ 세로 95.2㎝이다.
대웅전 우측 불단 위에 위치하며, 비단 바탕에 액자 형태로 봉안되었다. 화면에는 동진 보살(童眞菩薩)을 주존(主尊)으로 하여 주위에 신중(神衆) 6위가 묘사되어 있다. 하단부에는 1785년[건륭(乾隆) 50년 을사(乙巳)]에 조성되었음을 알려 주는 화기가 있다.
[의의와 평가]
원채색이 다소 퇴색되어 있으며 약간의 박락(剝落) 현상이 확인된다. 조선 후기 신중탱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45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