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묵지리의 효부 밀양 박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039
한자 -孝婦密陽朴氏
이칭/별칭 효부 밀양 박씨 창적비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정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8년 - 「효부 밀양 박씨 창적비」 『감동으로 적신 효성』에 수록
관련 지명 효부 밀양 박씨 창적비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성격 구비 전설
주요 등장 인물 이필우|밀양 박씨
모티프 유형 효행 모티프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묵지 마을에서 효부 밀양 박씨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감동으로 적신 효성』[마산 문화원, 1998]에 「효부 밀양 박씨 창적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묵지 마을에 이필우의 처 밀양 박씨 효행비가 있다. 그녀는 시부가 노환으로 병석에 눕자 십년을 하루같이 몸시중, 병수발에 온 힘을 기울이고 깊은 산에 들어가 약초를 캐고 머리카락을 잘라 팔아 병수발을 하는 등 주위의 칭찬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효부 밀양 박씨 창적비(孝婦 密陽朴氏彰蹟碑)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인은 본관이 밀양이요. 선비 석선(石先)의 따님이다. 조선 정조 경자년에 태어나 헌종 신축 오월 초이틀에 돌아가시니 어릴 적부터 몸가짐이 바르고 마음이 부드러워 아낙으로서 갖춘 바가 남달리 두드러졌다. 뒤에 이필우(李弼宇)에게 시집오니 이공은 종실 효령 대군의 후손으로 가선대부 회태(會泰)의 아들이다.

부인은 모든 일에 삼가고 깊이 헤아려 틈새가 없고 어미가 할 일과 아내와 며느리로서 지녀야 할 마음가짐을 몸소 보이시어 이웃 사람들이 즐겨 본보기로 삼았다. 어버이께 진지를 올림에는 끼니마다 행여 간이 맞지 아니할까 두려워하고 철철이 입성을 지어 손끝마다 굳은살이 박여도 오히려 얼굴에 밝은 웃음이 가득하여 언제나 온 집안에 따뜻한 기운이 흘러 넘쳤다.

시어른이 일흔에 자리에 눕자 이날부터 십년을 하루같이 모든 일을 제쳐놓고 오로지 몸시중 병수발에 온 힘을 기울였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곁에 모시어 한 때도 자리를 비우지 않았다. 날마다 때맞추어 약을 올리고 하루에도 여러 차례 진 옷을 갈아내며 손수 뒤를 받아 내기에 지친 몸을 가누기 어려웠으나 끝내 한 치 흔들림이 없었다.

마침내 집안이 기울어 약 마련이 어렵게 되자 몸을 돌보지 않고 깊은 산[광려산]에 들어가 약초를 캐고 머리카락을 잘라 팔아 병수발을 하였다는 것이다.

[모티프 분석]

「묵지리의 효부 밀양 박씨」의 주요 모티브는 이필우의 처 박씨 부인의 ‘효행’이다. 시어른이 몸져눕자 무려 십년간을 하루같이 병수발에 온 힘을 쏟고 여자의 몸으로 직접 광려산 등지에 올라 약초를 캐서 다려 드리기도 하고 심지어는 가세가 곤궁한 처지라 머리카락을 잘라 팔아서는 병수발에 보탰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