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열녀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093
한자 烈女-
이칭/별칭 남편 병 낳게 한 열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열녀이야기」 『마산 시사』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남편 병 낳게 한 열녀」 『마산의 문화유산』에 수록
성격 민담
주요 등장 인물 남자|부인|영감|동네 사람들
모티프 유형 열녀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곡안리 김정주의 구술로 전해지고 있는 열녀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김정주의 구술로 전해지는 이 지역의 민담으로 『마산 시사』[마산 시사 편찬 위원회, 1997]에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해 『마산의 문화유산』[마산시, 1997]에는 「남편 병 낳게 한 열녀」라는 제목으로 재수록 되어 있다. 그러나 구술자 김정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 수 없다.

[내용]

남자가 몹쓸 병이 들었던 모양이라. 그란께 남자가 “나는 이미 이렇게 됐지만 니는 좋은 데로 가서 살아라” 이리하니 안 갈라 하는 기라. 안 갈라 해서 “그라면 여기서는 남이 부끄러워서 이 동네는 못살 끼고 고마 객리 가서 얻어먹든가 우짜든가 나가자.” 그래 저 나와 가지고 거덕 밑에 앉아서 자꾸 싸우는 기라. 영감은 좋은 데로 가라 하고 안 갈라 하고 싸와 쌌는 기라. 그래서 인자 요새처럼 여름인가 나무 밑에 앉아서 듣는 사람들이 옆에서 싸운 께네 오라고 불렀단 말이다. 불러 가지고 와 그리 싸우냐고 물은 께네 사실은 그렇다고 남자가 병이 있다가 팔자가 그리 됐은 께니 팔자가 그리 됐은께 니 팔자는 괜찮은께 딴 데 좋은데 가서 사라꼬 자꾸 그리 하는데 내가 갈 수가 있느냐고 그리 이야기한께.

아 그러면 좋다고 우리 동네 여기 혼자 사는 남자가 홀아비가 있는데 그 살림도 착실하고 괜찮다고 그 살면 저런 사람이 또 오데 바람 세러 다니다가 오면 며칠 쉬어 갈 수도 있고 그란께네 그 가서 살라고 동네 사람들이 자꾸 권하네.

권한께 남자는 더 좋단다고 그리 가라고 자꾸 떼밀어 데네. 못 이겨서 그리 가서 살게 됐는데 집도 살만하게 되고 재산도 그냥 괜찮게 먹고 살만큼 있어.

그래 가지고 사는데 봄 남편이 며칠로 다니다가 옷이 추하면 부인한테 와서 씻어 입고 가고 한 이틀 쉬어 가고 이리 했던 모양이라. 그냥저냥 그 살면서 아 하나 낳고 둘 낳고 낳는데 그래 인자 물[동이]로 이고 들어온께네 우찌 눈에 보이는 기 사랑채가 본채보다 훨씬 높이 보이. 사랑채가, 예전 속담에 행랑이 높으면 본채보다 높으면 안 좋다 하는 기거든. 그래 영감한테 영감님 행랑이 저리 몸채보다 높아가지고는 안 되는 긴데 저걸 새로 중찬을 해야 된다고 이리쿤께 아 그렇느냐고 영감도 쳐다본께 몸채보다 높아 사랑이.

그러면 새로 중찬을 해야 되겠다고 뜯고 이놈의 밑에 주춧돌을 낮춰야 된다고 주춧돌을 판께 돼지 같은 곰 같은 기 밑에 큰 가운데 주춧돌을 그놈을 자꾸 올라오는 기라. 밑에서 짐승이. 그란께 집이 자꾸 솟아지는 기라. 그 놈을 꺼내서 이 마누라가 혹시 약 되니라 이리 싶은 마음이 들었다 말이다.

그놈을 잡아서 포를 떠서 착착 좋은 볕에다 말라 가지고 이리 놓고 있은께 그전 영감이 또 있는 기라. 옷이 추하고 그래 왔는데 화루불을 담아 들여놓고 그 병이 있은께 주인 영감하고 접촉을 못하고 사랑채 거서 며칠을 살고 가는 기라. 그것을 자꾸 먹어라 하는 기라. 고기 포 뜬걸. 괴기 포 떠 논거. 그걸 자꾸 구워 먹어 라고, 괴기도 귀하고 안 먹어 보고 했은께 많이 굶고 했은께 먹어 라고 자꾸 줘. 그걸 자꾸 구워 먹고 나서 고마 얼굴이 섬섬하게 간지럽고 이래. 이라데마 터져 가지고 벌거지도 기어 나오고 막 이래 가지고 고마 얼굴이 싹 낫아 삐리. 낫아 삔께 성한 사람이 싹 낫아.

그래서 마누라가 뒤에 만난 영감 보고 당신은 자식이 있은께네 자식이 둘이나 있은 께 그것 보고 살끼고 저 사람은 불쌍한 처지께네 자식도 없고 내 아니면 죽을 사람인께네 당신은 자식 보고 사시오. 자식 며느리 보고 사시오 하고 이리하고 그래 본 영감을 데리고 또 딴 데 가서 자식 놓고 사더란다. 그 열녀 아이가.

[모티프 분석]

「열녀 이야기」의 주요 모티브는 ‘열녀담’이다. 병든 전 남편과 함께 살지 못하게 된 부인이 전 남편의 병을 고쳐 주고 개가한 남편과 헤어져 다시 전 남편과 잘 살게 되었다는 줄거리로 전형적인 허구적 내용과 구성으로 짜여진 민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