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아 성아 사촌성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127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유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 「성아 성아 사촌성아」 『얼』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성아 성아 사촌성아」 『진해의 민속』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성아 성아 사촌성아」 『진해 시사』에 수록
성격 민요
형식 구분 4.4조 2음보
가창자/시연자 김이남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달래는 민요

[채록/수집 상황]

『얼』[진해시, 1985], 『진해 시사』[진해 시사 편찬 위원회, 2006], 『진해의 민속』[진해 웅천 향토 문화 연구회, 2001]에 수록되어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풍호동 김이남의 구송으로 채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4.4조 2음보의 중첩으로 이어지는 형식을 취한다.

[내용]

성아성아 사촌성아            크고큰 가마솥에

시집살이 어떻더노            소죽퍼기 어렵더라

시집살이 좋더마는            사발같은 웅덩새미

도리도리 도리판에            물푸기도 어렵더라

수저놓기 어렵더라            고춧가루 맵다해도

울퉁불퉁 수박개우            시누카믄 더 맵겠소

밥담기도 어렵더라            사자범이 무섭다해도

주우벗는 시아제비            시어머니카믄 무섭겠소

말하기도 어렵더라

[의의와 평가]

‘성’은 형 또는 형님의 경상도 방언이다. 화자의 청자를 성으로 하고 읊고 있는 부녀요로서 내용은 시집살이 노래의 한 형태이다. 가부장적인 전통적인 삶 속에서 여인들은 고된 시집살이를 감내하며 살아왔다. 다르게 보면 여인들의 삶이 곧 고달픔과 한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고달픔과 한을 단순히 표출하기보다 익살과 풍자성을 띠며 풀어냄으로써 문학성을 높이고 있다. 문답의 형식을 취하며 해학적으로 표현한 예술성이 높다. 시어머니의 혹독함을 사자범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음도 재미나다. 우리의 생활 문화 저변에 ‘시-’ 자가 붙는 말은 여인들에게 고통과 괴로움을 담고 있음도 재미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