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마을의 이곳저곳 - 지명유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C010104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봉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수정

봉산마을은 새를 뜻하는 ‘봉(鳳)’과 산(山)이 만나서 이루어진 이름으로 보인다. 마을이 전단산(旃檀山)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와 무관하지 않을 이름으로 생각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봉산마을 전경

봉산마을에는 마을의 여러 지명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들이 많은데, 특히 자여마을에 속한 자연마을이기 때문에 자여역과 관련한 이야기도 다수 전해지고 있다.

○굿터-봉산마을 전단산 산자락의 공터로 석제단 너머에 위치하고 있다.

옛날 봉산마을과 송정마을 동제가 이루어지던 시절에 이곳에서 당제를 준비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널머리들-봉산마을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 들을 일컫는다.

○동헌 터(찰방비)-봉산마을 남쪽에 있는 들이다.

옛날 자여역이 있던 시절 자여도역(自如道驛)의 찰방이 거주하던 집이 있었다고 전한다. 찰방비는 본시 현 당산나무 옆에 있었으나, 최근 도로를 정비하면서 자여민원센터 앞으로 이전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자여역 찰방비

○배랑당-배랑등에 있는 당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은 석제단이라 일컫는다. 예부터 이곳에서 동제를 지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석제단

○봉산소류지-봉산마을 서쪽 자여숲 너머에 있으며, 동진소류지라고도 불렀다. 이는 창원시와 김해시가 연접하는 동읍의 ‘동’자와 진영의 ‘진’자를 따서 이름 지은 것이라고 한다. 이 소류지는 해방되던 해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조성될 당시에는 경남에서 두 번째로 넓은 소류지였다고 한다. 이 소류지를 조성할 때 비가 많이 와 세 차례나 둑이 터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봉산소류지는 현재 봉산마을 인근의 농지에 농업용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비룡천저수지(飛龍川貯水池)-봉산마을 서쪽에 있는 저수지이다. 물이 흘러내리는 모습이 마치 용이 승천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시 자연적으로 생긴 못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더 확장했다고 한다.

○유다리-자여역터 북쪽에 있는 돌다리로 용정마을과 단계마을의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다.

○자여숲-봉산마을 북쪽 입구에 있는 숲으로, 옛날 괴목과 포구나무 등이 100여 그루 가량 있었다고 한다. 봉산마을 뒤와 옆을 감싸는 전단산의 산줄기가 마을 옆에서 끊어져 마을을 모두 감싸지 못하므로, 마을 사람들이 이 끊어진 능선을 따라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림(防風林)을 조성하고 자여숲이라고 부른 것이라고 한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봉산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전단산 자락이 좀 더 길게 내려뻗어 마을을 감쌌으면 마을에 큰 인물이 나고 부자가 많이 났을 것이라고도 한다. 이 때문에 마을에서는 전단산 자락 끝에 인공 숲을 만들어 지세를 강화시키고자 하였다고 한다.

○장승배기-봉산마을 북쪽으로 창덕중학교 인근을 일컫는다. 옛날 장승이 서 있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의 또 다른 북쪽에 자여숲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 숲과 함께 마을에 들어오는 액을 막기 위해 세웠던 것으로 전한다.

○찬샘-봉산소류지 위에 있던 우물터를 일컫는다. 예부터 이 샘에서는 찬물이 많이 났으며, 날이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으며, 샘은 메워졌다.

○통새미-봉산마을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우물이다. 옛날부터 이 우물은 마을의 주요 식수원 중에 하나로서, 맛이 유독 좋고, 날이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아서 인근 마을 사람들까지 이 물을 이용했다고 한다. 1997년 메워졌으나 그 터는 아직도 남아 있다. 현재 통새미 터에는 표지석을 세워 두었으며, 그 앞에는 넓은 공터가 마련되어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통새미터

○학교터-봉산마을의 끝자락, 자여교회 옆 언덕배기를 일컫는다. 옛날 이 언덕배기에 작은 학교가 있었다. 정식 절차에 의해서 건립된 제도권의 학교는 아니었으나,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에게 한글을 가르쳐 주던 야학교였다. 봉산마을뿐만 아니라 자여마을에 거주하던 아이들이 다수 다녔으며, 매년 운동회도 개최하였다고 한다. 1923년 신방공립보통학교[현 신방초등학교]가 문을 열자 대부분의 학생이 전학하여 이내 폐교되었으며,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홍시안굴-마을 뒤 전단산 자락에 있다고 알려진 굴이다. 옛날 마을에 홍씨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그 모친 또는 부친이 병이 들어 고생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인근 의원이 말하기를 “이 병은 개 100마리를 먹으면 나을 병”이라 하였다. 홍시안은 개를 잡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산에 올라 산신에게 지극정성으로 기원하였다. 그러자 이에 감동한 산신이 홍시안에게 주문이 적힌 책을 한 권 주었다. 이 책에는 사람이 호랑이가 되는 주문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는 주문이 적혀 있었다. 그래서 홍시안은 밤이 되면 책을 보고 주문을 외워 호랑이로 변해 개를 잡아 부모를 봉양하였다. 그렇게 99마리의 개를 잡아 부모에게 드리고, 마지막 100마리째 개를 잡기 위하여 호랑이로 변하여 산에 오른던 날 밤, 홍시안 부인이 매일 밤마다 호랑이로 변하는 남편이 두려워 주문이 적힌 책을 불에 태워 없앴다. 이 후 100마리째 개를 잡아 집으로 돌아온 홍시안은, 주문이 적힌 책을 찾지 못하여 끝내 사람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호랑이로 평생을 살게 되었다. 호랑이로 변한 홍시안은 마을에서 살지 못하고 마을 뒤 굴에서 부모님을 그리워하며 살았다고 하는데, 그 후로 마을 사람들이 그때 호랑이가 살던 굴을 홍시안굴이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 굴은 마을 뒤 널머리들 인근에 있었다고 한다.

[정보제공자]

황봉광(남, 1919년생, 봉산마을 거주)

한판줄(남, 1941년생, 봉산마을 거주, 송산노인회 총무)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