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진해 안골포 해전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478
한자 鎭海安骨浦海戰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진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592년 7월 10일~7월 11일 - 안골포 해전 발발|종결
현 소재지 진해 안골포 해전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 지도보기
성격 해전지
관련 인물 이순신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에 있는 임진왜란 시기의 해전 장소.

[개설]

안골포 해전은 전라 좌수사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의 포구를 점거하고 있던 왜군을 격멸하기 위하여 1592년 7월 10일과 11일에 접전을 벌인 해전이다. 이순신은 1592년 5월과 6월에 두 차례 출전하여 옥포 해전, 당포 해전 등을 비롯한 7회의 큰 해전에서 승리함으로써, 모두 110여 척 이상의 왜선들을 격파하였다. 이에 당황한 왜군 수뇌부는 조선 수군에 대응하기 위하여 당시 한성까지 진출하여 육전에 참전하고 있던 수군 장수들을 급히 부산과 김해로 보내 바다에서 조선 수군과의 결전을 준비시켰다. 그리하여 먼저 김해로부터 출발한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安治][1554~1629]가 거느리는 73척의 왜군 주력 함대와 이순신이 이끄는 58척의 조선 함대 사이에 한산도 앞 바다에서 큰 전투가 벌어졌다. 7월 8일에 있었던 이 한산도 해전에서 조선 수군은 59척의 왜선을 격멸하는 대첩을 거두었다.

한산도 해전 후 조선 수군은 왜선을 찾아 가덕도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적선을 수색한 결과 안골포에 왜선들이 정박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 왜선들은 와키사카 야스하루의 함대를 후원하기 위하여 부산에서 출발한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1542~1600]와 가토 요시아키[加藤嘉明][1562~1631]가 거느리는 40여 척의 함선이었다. 7월 10일에 조선 수군은 거제도 북단의 온천도[현재 거제시 하청면 칠천도의 조선 시대 명칭]를 출발하여 안골포로 진격하였다. 작전 계획은 이순신의 함대가 학익진으로 포구의 왜선을 공격하는 임무를 맡고, 전라 우수사 이억기의 함대는 안골포의 바깥 바다를 경계하면서 전투가 벌어지면 복병을 남겨두고 전투에 합세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안골포 포구는 지세가 좁고 얕아서 조수가 물러나면 육지가 드러나므로 판옥선과 같은 대형 선박은 출입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이순신은 적을 넓은 바다로 유인하고자 하였으나, 이미 한산도 해전에서 동료 함선들이 거의 전멸당한 후라 왜군들은 포구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조선 수군들은 종일토록 교대로 출입하면서 화포 등 각종 장거리 투사 병기를 발사하여 왜군들을 크게 무찔렀다. 이순신은 화공으로 적선을 모두 불태워버리려 하였으나, 궁지에 몰린 왜군들이 숨어 있는 우리 백성들을 살육할 것을 염려하여 화공을 중단하고 1리[0.4㎞] 가량 물러나 밤을 보냈다. 다음날인 7월 11일 조선 수군이 다시 안골포로 진격하였으나 살아남은 왜군들은 밤에 몰래 함선을 끌고 달아나버렸다. 조선 수군은 부산 방향으로 진격하여 낙동강 하구 일대를 모두 수색하였으나 적선을 발견할 수 없었으므로, 이순신은 군사들의 휴식과 함선 정비를 위하여 연합 함대를 해산하고 13일에 전라 좌수영으로 돌아왔다.

[위치]

안골포 해전지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의 안골만에 있다. 안골포진해구 성내동에 있는 웅천읍성에서 큰 길을 따라 동쪽으로 8.7㎞ 지점에 있다.

[현황]

1990년대 후반 해안 도로가 개설되면서 안골만의 바다 일부가 매립되었으며, 이 때 안골포 굴강[해변에 돌무더기로 방파제를 쌓아 배를 정박시키던 곳] 유적도 매립되어 현재는 본래의 1/3쯤만 남아 있다. 또 안골포 해안 도로가 바다와 접한 쪽에는 안골만에서 해마다 생산되는 많은 굴 껍질이 퇴적되고 있다.

안골만의 남쪽 안골 반도에는 안골포진성과 안골왜성 유적이 남아 있다. 안골만의 바깥 바다는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청이 신항만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바다를 매립하여 안골만을 제외하고 바깥쪽 바다는 일부 출입 항로를 제외하고 모두 매립되었다. 안골만 바깥 바다를 매립하기 위한 토사는 안골포 마을의 남쪽 산이자 안골 반도의 서남쪽 끝단인 육망산[186.3m]을 허물어 사용했으며, 2013년 현재도 허무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의의와 평가]

안골포 해전은 한산도 해전과 더불어 당시 평양까지 진격한 왜군이 해로를 통하여 병력과 물자를 보급 받으면서 계속 진격하려는 의도를 분쇄함으로써, 그들의 조선 점령 전략을 좌절시킨 의미 있는 승리였다. 안골포 해전지이순신과 조선 수군의 역사를 간직한 유서 깊은 곳이다. 현재 안골포 해전지에 기념 시설은 없고, 다만 조선 시대의 안골포 굴강 유적이 남아 있어 옛날 수군진의 흔적과 함께 해전이 있었던 장소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은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