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통일 노동자 신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470
한자 統一勞動者新聞
영어의미역 Unification Laborer Newspaper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정기간행물|월간신문
창간연도/일시 1985년연표보기
종간연도/일시 1987년연표보기
발행처 (주)통일노조사수투쟁위원회|(주)통일노조생존권수호투쟁위원회

[정의]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주)통일 해고자들이 1985년 5월부터 1987년까지 발간한 월간 신문.

[개설]

『통일노동자신문』(주)통일 해고자들이 ‘통일노조 사수투쟁위원회’, ‘통일노조 생존권수호투쟁위원회’ 등을 결성하고 발간한 월간 신문이다. 1985년 5월 1일 (주)통일노조조합원 총회에서는 김재진이 위원장직에서 물러나고, 문성현 위원장과 박철수 사무국장 등 18명의 새로운 집행부가 선출되었다. 이들은 6월 26일 밤 12시에서 새벽 4시 사이에 ‘국가보안법’, ‘노동쟁의법’ 등의 위반혐의로 전원 연행되었다. 그 뒤부터 (주)통일에서는 열성 대의원이나 조합원·조합 간부들이 갖가지 구실로 부서이동, 권고사직, 강제사직, 구속 혹은 해고되어 1985년 이 후 1987년까지 (주)통일 해고자만 80여 명에 달했다.

[창간경위]

『통일노동자신문』은 1985년 임금협상 투쟁을 비롯하여 (주)통일노조의 활동상 및 해고자 등의 소식을 전하고자 창간되었다. 이 신문은 현장 내 소모임을 통해 현장 안에서 배포되거나 혹은 매일같이 벌어지는 회사 정문 앞에서의 출근투쟁 때 조합원들에게 건네지기도 했다. 해고자들은 끊임없는 감시와 구속의 위협만이 아니라 감시 명단에 걸려 재취업이 금지되어 생업수단은 막일이나 임시직 정도에 불과했다.

1986년 3월 16일 점심시간에 핵심 조합원과 대의원 4명이 선도투쟁에 나섰다. 그러나 유인물을 뿌리고 선동을 시작한지 채 5분도 안 돼 주동자 5명은 식당에서 관리자들에게 끌려 나가 출동한 형사기동대에 의해 전원 구속되었다. 민주노조에 대한 노동자 권리의식과 열망이 꾸준히 확산되어 1987년 노조민주화 투쟁에 전 조합원이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은 수많은 해고자들의 희생과 헌신의 결과였다.

[변천과 현황]

『통일노동자신문』의 고정 독자는 대부분 조합원들이었다. 독자들은 신문 값으로 1000원 또는 5000원을 선뜻 지불했다. 1985년과 1986년까지 겨우 150부에 지나지 않았던 신문은 1987년 4월과 5월 들어서면서 500부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의의와 평가]

『통일노동자신문』의 구독료를 지불하는 독자수가 급증함으로써 단순한 재정적 도움뿐만 아니라 1987년 6월 항쟁7·8월 노동자 대투쟁의 선도 세력·중심 세력의 토대를 만들었다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