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신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1736
한자 龍神祭
영어의미역 Religious Service for Dragon God
이칭/별칭 용제,논고사,논고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집필자 정정헌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유두날 풍년을 기원하며 용(龍)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용신제는 용제(龍祭)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논의 물꼬나 논둑 등에서 물의 신인 용신을 위해 지내는 제사이다. 이는 다분히 풍농(豐農)과 관련된 의식으로, ‘논고사’나 ‘논고지’로 부르기도 한다.

[현황]

1. 창원시 의창구 동읍 다호리

의창구 동읍 다호리에서는 예부터 음력 6월 보름인 유두를 전후하여 용신제를 지냈다. 물이 많이 흘러내리는 물꼬에 미리 준비한 큰 돌을 넣은 후 그 밑에 무나 삶은 배추 시래기를 넣고 “올 한 해 농사 풍년들게 해 주소.” 하고 비손하였다. 또 의창구 동읍 죽동리 죽동 마을에서는 여름에 나락이 시퍼렇게 성장할 무렵이면 쥐나 뱀이 논두렁에 구멍을 내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백 시루떡을 해서 뿌렸는데, 이를 용신제라고 불렀다. 집안에 따라서는 떡과 밥, 술 등을 간소하게 차린 간단한 제상을 마련하기도 한다.

의창구 대산면 가술리 북가술 마을에서는 논매기를 마칠 무렵[흔히 망수 놓는다고 함] 주로 머슴들이 떡과 술을 해서 들판에 나가 용신제를 지낸다. 대개 유두날에 맞춰 지내는데 제를 지내고 난 후에는 머슴들이 춤을 추거나 소를 타면서 부르는 “상사디여 상사디여” 하는 노랫소리가 온 들판에 울려 퍼졌다고 한다. 이날 머슴들이 용신제를 잘 지내는지 삿갓을 쓰고 망을 보기도 했다는 우스개 이야기도 전한다.

2. 의창구 동읍 석산리, 의창구 북면 화천리 시화 마을

의창구 동읍 석산리의창구 북면 화천리 시화 마을에서는 유두에 지내는 용신제를 용제라고 부른다. 밀떡과 밤과 나물, 막걸리 등의 제물을 마련하여 물꼬 있는 자리에서 간단히 고사를 지낸다. 시화 마을에서는 물꼬 근처 삼대[지릅대]에 떡이나 밀전병을 꽂아 세우고 진설한 다음 농사가 잘 되게 해달라고 기원하기도 한다. 또 의창구 사화동에서는 예전에 유두날 아침에 용신제를 지내는데 밥과 나물과 막걸리를 동이에 담아 자기 집의 제일 큰 논 물꼬로 가서 밥 세 숟갈을 떠서 뿌리면서 “올 농사 풍년들게 해 주소.”라고 하기도 했다.

3. 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

‘유두 천신’이라 하여 집안에서 밀국수와 피·조·벼·콩 등 여러 가지 곡식과 참외 등 새로 나온 과실을 함께 사당에 차려놓고 제사를 지냈다. 논과 밭 가운데에 음식과 떡을 차려놓고 곡물이 잘되라고 농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또한 떡을 해서 논가에 뿌려 놓기도 하는데 이는 논의 물이 새지 말라는 기원이기도 하다. 한편 이날은 유두잔치라 하여 사람들이 모두 술과 음식을 차려서 맑은 시내나 산간의 폭포를 찾아가서 하루를 즐기다 오는데, 이렇게 하면 재앙을 벗는다고 한다.

4. 진해구

진해구에서 유두날 용신제를 하는 풍습은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친척이나 이웃끼리 진해구 대장동 팔판산성흥사 계곡이나 아홉내골[구천계곡]을 찾아 하루를 보내는 ‘유두연’을 한다. 이는 재액을 막는 한 방법이었다. 집에서는 ‘유두 천신’이라 하여 몸을 청결히 한 후 수박, 참외, 국수, 떡 등으로 사당에 제사를 올린다. 농가에서는 논이나 밭에 음식을 차려 고사를 지내는 농신제를 했지만 예전에 사라졌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용신제를 지내는 방법들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전승된다. 창원시의 경우 떡이나 밥을 해서 뿌리는 경우도 있지만, 배추나 시래기 등을 물꼬에 묻는 것은 다른 지역과 다른 차이를 보여준다. 이는 물을 관장하는 용신이 좋아하는 제물을 다른 지역과 다르게 이해하였음을 보여준다.

창원시에서 용신을 맞이하는 곳은 대부분 물꼬이다. 물이 흘러내리는 물길인 물꼬에서 물이 끊이지 않고 계속 흘러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옛 마산시 지역인 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에서도 논과 밭 가운데 음식과 떡을 차려놓고 곡물이 잘되라고 농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논물이 새나가지 않도록 떡을 논가에 뿌리는 것으로 보아 경상남도 창원시 전체 지역의 용신제는 거의 대동소이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