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66
한자 古簡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고간첩 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6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고간첩 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고간첩 Ⅱ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
작가 이명 외 17인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 편지글을 모은 서간첩.

[개설]

고간첩(古簡帖) Ⅱ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총독(總督)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유물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고간첩 Ⅱ는 그 중 하나이다.

참고로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는 ‘고간첩’이라는 이름의 서간첩이 모두 4종이 있는데, 편의상 고간첩 Ⅰ~Ⅳ로 구분하였다.

[형태 및 구성]

고간첩 Ⅱ는 1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크기는 37㎝×25㎝이다. 분량은 38쪽이며 책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구촌(龜村) 이명(李溟)[1570~1648], 금시당(今是堂) 임의백(任義伯)[1605~1667],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1629~1689] 등 17~18세기 초에 활동하였던 문신 학자 18인의 편지 21통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문신학자 18인 가운데 이명,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 기은(機隱) 정지경(鄭之經)[1586~1634]을 제외하고는 모두 17세기에 태어난 인물이다. 고간첩 Ⅱ는 어떤 일관된 기준에 의해 수집된 일괄 자료라기보다는 선대의 유명한 인사들의 글씨를 모아 구색을 갖추어 묶은 서첩인데 책의 상태나 작첩의 솜씨, 표제의 글씨 등으로 보아 상업적 목적에서 급히 묶어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럼에도 고간첩 Ⅱ에 실린 편지들은 조선 시대의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사회상을 언급하고 있어서 공식적인 기록물에서는 볼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