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1400 |
---|---|
한자 | 追慕齋-昌原黃氏- |
영어의미역 | Chumojae Pavilion for Purification(Changwon Hwang Clan)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신촌리 783-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장성진 |
성격 | 재실|사립 교육기관 |
---|---|
건립시기/일시 | 1908년![]() |
정면칸수 | 4칸(재실)|3칸(동재) |
측면칸수 | 2칸(재실)|2칸(동재)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신촌리 783-2
![]() |
소유자 | 창원황씨 종중 |
관리자 | 창원황씨 종중 |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신촌리에 있는 조선 말기 창원황씨 문중 재실.
추모재는 선조를 향사하고 후손들의 강학 장소로 쓰였던 사립 교육기관이다. 첨정을 지낸 황룡발(黃龍潑), 통정(通政)에 오른 황세발(黃世潑)을 향사하고 있다. 황룡발은 창원황씨 논산 입향조로서 학문에 힘쓴 사람이며, 그 후손들이 이 마을에서 번성하였다. 향사일은 3월 25일이다.
기문에 의하면 창건 후 퇴락하고 자리가 비좁아서 중건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때가 1964년이다. 이때 장소도 옮겨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정문인 성추문(省楸門)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솟을대문이며, 재실은 정면 4칸, 측면 2칸이다. 재실에는 세 개의 현판이 있는데, 가운데는 ‘추모재’라 하였으며, 왼쪽은 ‘여재실(如在室)’, 오른쪽은 ‘역락헌(亦樂軒)’이라 하였다. 동재에 해당하는 별채는 현판 없이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졌다.
창원시 북면에 있는 재실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재실 경내에 황룡발과 황세발의 비석이 있으며, 그 서쪽 50m 되는 곳에는 조선 말기에 정이품 관직에 올랐다가 귀향하여 학문으로 일생을 마친 황종락(黃鍾洛)의 행적비가 있는 등 창원황씨 문중 유물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