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0138 |
---|---|
한자 | 居昌 婦人 義捐會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심옥주 |
[정의]
1907년 경상남도 거창 지역에 설립된 국채 보상 운동 관련 여성 단체.
[개설]
1907년에 전개된 국채 보상 운동 과정에서 거창 지역 부인들이 국채를 갚기 위해 자발적으로 애국의 의기를 발휘한 의연 활동이다. 거창 지역 부인들의 사회 참여 의지와 구국 의지의 태동을 보여 주었다.
[설립 목적]
의로운 여성의 국채 보상 참여가 나라를 구하는 길이며 이를 위해 여성의 자발적인 애국, 구국 의지의 실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여성 단체를 조직했다.
[변천]
한일 의정서가 체결된 뒤 일본 이토 히로부미는 시정 개선 정책을 제안하여 일본 정부에 차관을 빌리도록 주선했다. 도입된 차관으로 일본은 도로, 농공 은행, 학교 신축, 병원 신축 등 민족 탄압의 수단으로 활용하여 한국 정부에 심각한 부담을 주었다. 국채의 심각성을 파악하면서 채무 상환을 위한 자발적인 민족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바로 대구를 시작으로 한 국채 보상 운동이었다. 1907년 1월 29일 대구 광문사 사장 김광제가 모금 제안을 현장에서 하고, 서상돈이 발의 연설을 함으로써 국채 보상 취지서가 발의되었다. 1907년 2월 23일 대구 남일동 부인 발기인 7명을 중심으로 남일동 폐물 폐지 부인회가 조직되었고, 이들은 격문 「경고 아 부인 동포라」를 작성, 언론사에 배포했다. 격문은 ‘첫째, 백성의 도리로 남녀의 구분은 없다. 둘째, 남성의 의로운 행동에 여성도 의로움을 더하자. 셋째, 의로운 부인 실천이 국채 보상의 길이며 나라를 구하는 길’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국채 보상 운동은 대구를 시작으로 경상 지역에서 여성 참여가 두드러졌다. 대구의 경우, 남일동 폐물 폐지 부인회 유지 부인이 중심이 되어 발기된 뒤, 경상북도 선천과 경주 등에서 현금과 패물, 잡곡 등을 의연하였으며 상인과 일반 계층으로 확대되었다. 부산,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진주, 부산, 창원, 거창 등 지역 의연 부인회에서 생활 절약을 통한 애국 실천으로 구국 의지를 표명했다.
[현황]
여성 국채 보상 운동의 참여를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공식 단체 17개와 준단체 51개가 참여했으며 경상도 지역에서는 공식 단체 14개와 준단체 17개가 참여했다. 거창의 경우, 준단체로서 ‘거창 부인 의연회’가 참여했는데, 그에 대한 기록은 『대한매일신보』 1907년 4월 13일자에 실려 있다.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에서 17명의 부인들이 패물과 생활용품을 팔아서 19원 80전을 국채 보상 운동 기금으로 내놓았다는 기록에서 거창 지역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를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국채 보상 운동에서 여성의 참여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남존여비의 틀을 넘어서서 여성의 사회 참여 의지를 명확히 표명했으며, ‘국가위기’라는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을 함으로써 여성 구국 의지의 태동을 보여 준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