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지방 위원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139
한자 居昌 地方 委員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배병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07년연표보기 - 거창 지방 위원회 조직
최초 설립지 거창 지방 위원회 - 경상남도 거창군
성격 사회단체

[정의]

개항기 말부터 일제 강점기 초기에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활동했던 일제 협력 기관.

[개설]

거창 지방 위원회는 1910년 8월 경술국치 전후 활동했던 일제의 협력 기관이다. 주로 세금 징수에 협조하는 역할을 맡았고, 참여한 이들은 이후 친일 관료와 지방 유지로 성장해 갔다.

[설립 목적]

거창 지방 위원회는 1907년부터 1911년까지 활동했던 지역 유지로 구성된 일제의 협력 기관이었다. 통감부 시기인 1907년 기존의 지방 자치 기구인 향회가 폐지되고 친일 인사들로 구성된 지방 위원회가 새로 조직되었다. 이들의 역할은 일제의 지방 지배를 매개하는 것이었다. 경술국치 전후 세금 징수를 돕고 민심 동향을 파악하는 등 통치 체제 구축에 협조했다. 거창 지방 위원회 역시 같은 목적으로 조직되어 활동했다.

[변천]

1907년 5월 13일 메가타 타네타로[目賀田種太郞] 조선 통감부 재정 고문이 초안한 ‘지방 위원회 규칙’이 공포되었고, 11월까지 각 지역에 지방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거창 지방 위원회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조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지방 위원회 조직 당시 일본인 재무관과 한국인 세무관이 각 군을 순회하면서 각지에서 ‘신용·자산·지식’을 가진 자를 선발하여 임명했다고 하며, 주요 사업은 역시 통감부의 세금 징수에 대한 협조였다. 사료로 확인되는 거창 지방 위원회의 활동은 1910년 11월 17일 『경남 일보』에 보도된 것이 있다. 거창군 지방 위원 이우형(李愚亨)과 신준근(愼準根)이 11월 11일 진주의 경상남도 지방 위원회에 참석하고 돌아와 경남일보사에 환대에 사의를 표함과 함께 군내 지방 위원 명단을 전달한 것이다. 이 기사에서 이우형과 신준근은 거창군이 “좁아서 개발이 어려운 지역이지만 외지의 선진 지역과 같이 일체 진보케 할 뜻”으로 각 면리에 『경남 일보』의 “구람(購覽)을 극력 권고”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이처럼 지방 위원들은 지역 유력자로서 근대적 계몽과 지역 개발에 대한 사명감도 일정 정도 느끼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현황]

1910년 11월 현재 이우형과 신준근 외 거창 지방 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정태균(鄭泰均)[동부면 하리], 우택구(禹宅求)[동부면 하리], 이현원(李鉉元)[웅양면], 이준식(李埈軾)[웅양면 산포], 이준악(李埈岳)[웅양면 산포], 유진팔(兪鎭八)[적화면 송산], 류동석(柳東錫)[고제면 산양], 이현희(李鉉羲)[주곡면 오류동], 이정봉(李正鳳)[모곡면 동변], 김영기(金榮基)[모곡면 사동], 표정준(表正埈)[모곡면 죽동], 김성장(金聖長)[모곡면 서변], 변관수(卞寬洙)[갈지면 지내], 정종하(鄭鍾河)[천내면 임리], 신종삼(愼宗三)[천외면 중리], 이진우(李珍雨)[남흥면 평성], 김기현(金基鉉)[고천면 둔동], 김성범(金聖範)[청림면 대산], 정면석(鄭冕錫)[무등면 대야촌], 어재연(魚在淵)[가서면 동예촌], 변안수(卞安洙)[가동면 병산] 등 총 27명이다.

이들 중 이우형은 1920년 거창면장, 거창군 참사를 지냈으며, 신준근은 1919~1920년 거창군 참사를 지냈고, 두 사람은 함께 1923년 거창면 협의 회원에 임명되기도 했다. 그리고 정태균은 조선 총독부 중추원 참의, 관선 경상남도 도회 의원을 지냈고, 1935년 시정 25주년 기념 표창을 받기도 했다. 이와 같이 이들은 지역의 유력자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군수, 참사, 면장 등 공직에 진출하여 지방 통치의 협력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의의와 평가]

거창 지방 위원회는 지역 내 최초의 친일 단체로, 이후 그 구성원들이 지역 유력자의 지위를 유지하거나 성장해 가는 과정을 파악하는 데 있어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