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천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514
한자 尤川遺稿
영어공식명칭 Ucheon Yugo
이칭/별칭 우천처사유고(尤川處士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구경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63년~1942년 - 도재균의 생몰년과 일치
성격 문집
저자 도재균(都宰均)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글자수 부정(不定)
규격 반곽 16.7×24.8㎝|광곽 18.2×25.7㎝
권수제 우천처사유고(尤川處士遺稿)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출신의 근대 유학자 도재균의 문집 필사본.

[저자]

도재균(都宰均)[1863.11.21~1942.10.28]은 자가 응규(應奎), 호는 우천(尤川),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아버지는 도병석(都炳奭)이고,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 尹氏) 윤장옥(尹章玉)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에서 태어났다.

항재(恒齋) 송호곤(宋鎬坤),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 남려(南黎) 허유(許愈), 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등을 종유(從遊)[학식이나 덕행이 높은 사람을 좇아 함께 지냄]하였다. 낙빈계(樂賓契), 근학계(勤學契) 등을 조직하여 후진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1920년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포연(鋪淵) 가에 소진정(溯眞亭)을 짓는 데 참여하였다. 1924년에는 소진정 왼쪽 아래에 임청정(臨淸亭)을 세워 그곳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초취 부인은 상산 김씨(商山金氏) 김병현(金秉鉉)의 딸이고, 후취 부인은 연안 김씨(延安金氏) 김구성(金玖成)의 딸이다. 묘소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대덕산 남쪽의 구사 마을 백연동 임좌(壬坐) 언덕에 있다. 저술로 2권 1책의 『우천유고(尤川遺稿)』가 있다.

[편찬/간행 경위]

『우천유고』도재균의 손자 도주락(都柱洛)이 주도하여 유고를 수집하고 1996년 박상헌(朴尙憲)에게 서문을 받았다. 그 뒤 2002년까지 유고를 한글로 번역하고 4책으로 구분하였으나, 아직 간행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형태/서지]

『우천유고』의 초고는 확인할 수 없으나, 손자 도주락이 원문과 번역문을 필사한 원고는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이 16.7×24.8㎝이고, 광곽(匡廓)[판의 사주를 둘러싼 검은 선]은 18.2×25.7㎝이다. 권수제는 ‘우천처사유고(尤川處士遺稿)’이다. 각 장은 10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수는 일정하지 않다. 현재 성주 도씨 서울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구성/내용]

『우천유고』는 따로 권수를 나누지 않았으며, 시와 서(書)만 구별을 하였고, 그 외의 글에는 따로 소제목이 없다. 이를 체제별로 나눠보면 시는 116제(題), 서(書) 120편, 통문 1편, 잡저 37편, 묘표 2편, 가장 1편, 명(銘) 1편, 제문 10편이 있으며, 부록에는 가장(都鎭綴 撰), 행장[都殷煥 撰, 1970년], 묘갈명[成純永 撰, 1947년], 만시 8편, 제문 5편과 도주락·도상우(都相宇)의 발문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소진정, 포연, 심소정(心蘇亭) 등 거창의 명소와 관련된 내용이 다수 들어 있다. 「통산천재문(通山天齋文)」은 조식(曺植)도희령(都希齡) 두 공의 유적인 포연의 암석에 1897년 신씨(愼氏) 문중에서 ‘신공장구소(愼公杖屨所)’라고 글자를 새긴 것을 두고, 산천재의 유림에게 함께 징계할 것을 요청하는 통문이다. 잡저 가운데 「낙빈계 소서(樂賓契小敍)」와 「권학계 서(勸學契序)」 등은 거창 지역에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거창의 유림들이 모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조직한 두 계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다.

[의의와 평가]

『우천유고』도재균의 학문과 사상, 거창 지역에서의 교육 활동 등을 연구할 수 있는 문집이다. 또한 문집을 통해 심소정 등 거창의 명소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소진정이 지어진 배경과 도재균의 역할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