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해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850
한자 崔海斗
이칭/별칭 두남(斗南),우계(愚溪)
분야 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채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68년연표보기 - 최해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최해두 사마시 합격
몰년 시기/일시 1740년연표보기 - 최해두 사망
출생지 최해두 출생지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부산리
거주|이주지 최해두 거주지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부산리
묘소|단소 최해두 묘소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성격 문인
성별
본관 흥해(興海)

[정의]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가계]

최해두(崔海斗)[1668~1740]의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두남(斗南), 호는 우계(愚溪)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최응참(崔應參)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최유성(崔有聲)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 최후원(崔後遠)이며, 아버지는 종모당(終慕堂) 최윤정(崔胤貞)이다. 어머니는 처사(處士) 김보(金堡)의 딸 선산 김씨(善山金氏)이다. 부인인 처사(處士) 이진찬(李震燦)의 딸 성산 이씨(星山李氏)와의 사이에 2남 3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최해두는 1668년(현종 9)에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부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는 가정에서 배웠고, 자라서는 송천 김천일(金千鎰)백회(百悔) 이개(李蓋)에게서 배웠다. 이대재(李大哉), 김방경(金方卿), 이현원(李顯元), 이사응(李士膺), 문천한(文天漢)과 교유하였다. 1711년(숙종 37)에 돌림병으로 인해 아우 한 명과 육남매의 자녀가 한꺼번에 죽자 가야 우곡(愚谷)으로 이사하여 호를 우계(愚溪)라 하였다. 1720년(숙종 46)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인간의 근본 원리 탐구에 열중하는 동시에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였으며, 산수를 찾아 다니면서 시와 문장을 많이 썼다. 1740년(영조 16) 11월 11일에 7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최해두의 저서로는 『우계집(愚溪集)』이 있다. 최해두는 거창 지역에서 무신란을 겪었는데, 『우계집』에는 무신란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거창 현감 신정모(申正模)에 대한 서신이 바로 그것이다. 무신란을 도운 4~5명만이 주살(誅殺)되고 나머지는 방면된 기록으로 보아 무신란을 크게 도운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정신없이 따라다닌 수많은 군중들에게 관용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묘소]

거창군 가조면과 합천군 묘산면·봉산면에 걸쳐 있는 오도산(吾道山)최해두의 묘소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