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치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987
영어공식명칭 Pocket Song
이칭/별칭 주머니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2년 10월 5일 - 「줌치 노래」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줌치 노래」, 『민요와 한국인의 삶』2에 수록
채록지 「줌치 노래」 채록지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마을 지도보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4음보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여성들이 허리춤에 차고 다니는 주머니를 소재로 노래한 민요.

[개설]

「줌치 노래」는 삼을 삼을 때나 바느질을 할 때 부른 사설 민요로서, 정성을 들여 곱게 지은 주머니를 선비에게 판다는 내용이다. 이를 「주머니 노래」, 「줌치요」라고도 한다. 이 노래에는 아름다운 주머니를 만들고자 하는 처녀들의 열망이 환상적인 형태로 담겨 있다.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전하는 「줌치 노래」는 “대천지 한바닥에 뿌리 없는 낭기로다/ 한 가지는 달이 열고 한 가지는 해가 열어”로 시작하는데, 이는 해가 열리고 달이 열리는 뿌리 없는 나무의 기적을 상상하는 것으로 우주와 같은 넓은 동경의 세계를 말한다. 이렇게 달과 해를 담을 수 있는 넓고 큰 주머니는 여인들의 세계관이 담긴 사물이며, 동시에 여인들의 솜씨를 뽐내는 사물로 노래되고 있었다.

[채록/수집 상황]

「줌치 노래」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마을에서 1992년 10월 5일에 채록하였다. 가창자는 김복심[여, 당시 57세]이다. 「줌치 노래」는 『민요와 한국인의 삶』2(거창 문화원, 2003)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줌치 노래」는 4음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창으로 불리는데, 노동을 하며 읊조리는 방식으로 불리기도 했다.

[내용]

대천지 한바닥에 뿌리 없는 낭기로다/ 한 가지는 달이 열고 한 가지는 해가 열어/ 달랑 따서 안을 집고 해를 따서 겉을 집어/ 상별 따서 상침 놓고 중별 따서 중침 놓고/ 무지개로 선을 둘러 당사실로 귀빱 쳐서/ 대구 팔사 끈이 질러 서울이라 지나치다가/ 남대문에 걸어 놓고 내려가는 구관들아 올라오는 신관들아/ 다른 기경 마오시고 줌치 기경 하옵시오/ 누구 씨가 지은 주머니 주머니 값이 얼만고요/ 저 방안에 봉금 씨랑 이 방안에 순금 씨랑/ 둘이 앉아 집은 주머니 돈이라도 열에닷 냥/ 은이라도 열에닷 냥 서른 냥이 본값이요/ 주머니는 좋건마는 돈이 없어 못 사것소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여자들이 한복을 입을 때 노리개 삼아 허리춤에 달고 다니는 것이 주머니다. 한복에는 조끼 말고는 호주머니가 없어 실용적으로도 요긴하게 쓰였으나, 그보다는 복을 가져다주고 액을 물리치는 일종의 부적으로 차고 다녔던 것이 주머니다. 돌잔치나 환갑잔치에 복주머니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던 것도 그런 연유에서다. 그랬기 때문에 처녀들은 정성껏 주머니를 만들었으며, 바느질 솜씨와 수놓는 솜씨가 처녀의 됨됨이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현황]

「줌치 노래」는 줌치를 만드는 과정이 드러나는 노동요에서 파생했으나 실제로는 놀이의 현장에서 불렸기 때문에 서정성이 많이 나타나는 유희요로 분류된다.

민요에서 줌치는 세상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포용의 주머니로서 여인들의 세계관이 담겨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여인들의 솜씨를 뽐내는 사물이기도 했다. 오늘날 주머니는 탐욕의 상징이 되기도 하여 ‘자신의 주머니 채우기에도 급급하다’는 말이 어울릴 법하다.

[의의와 평가]

주머니에는 여성의 정성과 마음이 담겨 있어 그 주머니를 보고 여성의 됨됨이를 평가하기도 했다. 제도적인 속박과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던 여성이 주머니 속에 해와 달과 별을 수용하고, 또한 무지개를 매개자로 등장시켜 인간 세계와 하늘 세계를 연결하고 있었으니, 문학적으로 상상력이 풍부한 노래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