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311
한자 鴛鴦
영어의미역 Mandarin Duck
이칭/별칭 계칙(鸂鷘),원앙(鴛鴦),증경이,비오리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승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2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원앙 천연기념물 제32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원앙 천연기념물 재지정
성격 조류|철새|텃새
학명 Aix galericulata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색동물문〉조강〉기러기목〉오리과〉원앙속
서식지 물가|숲 속|연못|논
크기 45㎝
새끼(알) 낳는 시기 4월 하순~7월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대산면에 걸쳐 있는 주남저수지에 서식하는 오리과에 속하는 새.

[개설]

1999년 10월~2000년 3월 문화재청에서 실시한 천연기념물 조류 월동 실태조사 결과 원앙은 10월 중순경 주 월동군이 월동지에 도착하고 주로 도래하는 지역은 내륙을 중심으로 작은 저수지나 호소 등이다. 이런 이유로 한강 부근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천수만, 금강을 비롯한 몇몇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금강 부근에서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는 것은 금강 주변에 작은 호소나 저수지가 많기 때문이다.

[형태]

몸길이는 45㎝에 이른다. 수컷이 매우 아름다운데 눈 둘레는 흰색, 뒷머리깃과 윗가슴은 밤색, 등은 청록색을 띠며 가슴에 2개의 세로줄무늬가 있다. 또 노란 옆구리와 위로 올라간 선명한 오렌지색의 부채형 날개깃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몸 전체가 갈색을 띤 회색이며, 흰색 점무늬가 있다. 배는 흰색을 띤다.

[역사적 관련사항]

옛날 중국에서는 원앙의 암수 깃털이 워낙 차이가 나는 탓에 서로 다른 종으로 다루어 수컷을 원(鴛), 암컷을 앙(鴦)이라고 불렀지만 그 뒤로 분류학의 발달에 힘입어 같은 종의 암수인 것을 알게 되면서 원과 앙을 합쳐 원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우리 조상들은 계칙(鸂鷘), 원앙(鴛鴦), 증경이, 비오리 등으로 불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암컷과 수컷이 항상 함께 다닌다고 하여 화목하고 늘 동반하는 부부를 빗대어 원앙이라고 한다. 한 쌍 가운데 한 마리가 죽거나 사람에게 잡히면 다른 한 마리는 자기 짝을 잊지 못하여 끝내 죽음의 길을 가고 만다고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원앙이 부부 사이의 금실을 좋게 한다고 하여 혼례를 치를 때 원앙 한 쌍을 선물하여 왔다.

[생태 및 사육법]

원앙은 사람들의 생각처럼 사이좋게 일생을 함께 사는 새가 아니다. 월동지에서 자기 짝을 결정하여 부부가 된다. 암컷의 주위에는 열 마리 안팎의 수컷이 몰려들어 암컷에게 잘 보이려고 머리에 있는 관 모양의 치렛깃[飾羽, 장식깃]인 관우를 펼친다든지 큰 은행깃을 수직으로 세워 열심히 구애 작업을 벌인다. 여기서 암컷은 마음에 드는 수컷 한 마리를 고른다. 이렇게 해마다 짝을 바꾸어 번식한다.

원앙은 삼림이 울창한 산골짜기 계곡에서 생활하는데, 겨울에는 저수지·호수·늪·해변·냇가에서 무리로 겨울을 난다. 주로 활엽수 나무구멍에서 번식하는데, 오리류 중 중국의 호사비오리와 같이 나무구멍에 번식하는 유일한 종이다.

4월 하순~7월 한배에 7~12개의 엷은 황갈색 알을 낳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28~30일이다. 알에서 깬 지 24시간 정도가 지나면 약 하루 동안 계속 위쪽으로 뛰어오르는 본능이 있고 두 발을 번갈아 디디며 둥지의 벽면을 갈고리처럼 날카로운 발톱으로 기어올라 구멍 밖으로 나간다. 도토리를 즐겨 먹으며 도토리나무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풀씨, 나무열매, 달팽이류, 민물고기 등도 먹는다.

[현황]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나는 개체들이 관찰되고 있다. 원앙은 세계적으로 2만~3만 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고 모습이 매우 아름다워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