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주 봇장치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1739
영어의미역 Religious Service for the Head Spirit
이칭/별칭 성주오장치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봉곡리
집필자 정정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무속의례
의례시기/일시 9, 10월(음력)경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봉곡리에서 가을걷이가 끝난 시월에 성주신을 모시는 의례.

[신당/신체의 형태]

집안의 여러 가택신 중에 성주신은 가장 어른 신이고 여러 가택신을 통솔하기 때문에 각별하게 대접한다. 그래서 신체(神體)도 가옥의 중앙부인 기둥이나 대들보 위에 상주하고 있다고 믿는다. 성주신의 신체는 백지 오린 것을 매달아서 나타내고 있으나 때로는 아무 표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런 성주신을 위해서 마루 가장자리에 성주독을 마련해 두고 그 해 수확한 햇곡식으로 채우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창원 지역에서는 그 대신에 오장이란 짚으로 만든 섬에 나락 한 말을 담아서 대들보 위에 올려놓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절차]

성주봇장치기의 구체적인 전승 행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읍 봉곡리에서는 추수가 끝난 시월이면 짚으로 엮은 작은 가마니에 그 해 추수한 나락을 한 말 정도 담아 대들보 위에 올려놓았다. 이것을 ‘성주 봇장친다’ 또는 ‘성주 오장친다’라고 한다. 봇장이란 건물의 대들보를 말하는 것이고, 오장이란 짚으로 만든 작은 섬을 일컫는 말이다.

북면 외감리에서는 제미밥을 한다. 본격적인 추수 며칠 전에 나락 한 짐을 거둬서 먼저 성주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차리는 밥을 ‘제미’라고 한다. 이때는 성주신을 비롯하여 조상신·조왕신 등에게도 섭섭하지 않게 상(床)에 밥과 나물을 가득 차려 융숭하게 대접한다. 올 한해 풍성한 수확은 성주신을 위시하여 여러 가택신의 도움으로 가능했다고 믿어 가장 먼저 예를 올리는 것이다.

대산면 북가술마을에서는 음력 9월경에 논의 벼를 한 짐 베어서 훑고, 디딜방아에 찧어서 밥을 지어 성주와 조왕에 먼저 올리고 온 마을 어른들과도 나누어 먹는다. 이를 ‘제미한다’고 한다. 제미한 이후에 벼를 수확한다.

[현황]

성주봇장치기는 다른 지역에서 신주단지를 신체로 모시는 의식과 비슷하다. 그러나 수확한 첫 벼 한 섬을 봇장(대들보) 위에 올리는 독특한 풍속은 창원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신앙 형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