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2년 농민항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540
한자 -年農民抗爭
영어공식명칭 1862 Peasant Struggle
이칭/별칭 임술민란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채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862년 3월연표보기 - 1862년 농민 항쟁, 거창 농민 항쟁 발발
종결 시기/일시 1862년 8월연표보기 - 1862년 농민 항쟁, 거창 농민 항쟁 종료
발생|시작 장소 경상남도 거창군
성격 민란
관련 인물/단체 이시규|최남규|이승문|황종석

[정의]

1862년 거창 지역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농민 항쟁.

[개설]

임술 농민 항쟁은 삼정의 문란과 지배층의 과도한 수탈로 인해 1862년 2월 진주와 이웃한 단성현에서 시작된 이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삼남 지방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거창에서도 삼정의 문란으로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거창 부사 황종석(黃鍾奭)이 진주 항쟁을 살피러 떠나 자리를 비운 사이에 봉기하였다.

[역사적 배경]

19세기 이후 전결세(田結稅)는 현물인 쌀이나 면포 대신에 돈으로 계산하여 거뒀다. 1결당 거둬들인 세금을 돈으로 바꾸어 결가(結價) 몇 냥으로 매겼다. 이때 지방의 관리들이 농간을 부려 농민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지게 했다. 즉 서리들은 시가로 계산하여 거두었는데, 농민들에게 세금을 거둘 때의 값과 중앙에 바칠 때의 값 차이를 이용하여 막대한 이익을 남겼다. 특히 조세 수납 과정이 편리했기 때문에 기존의 전결세뿐만 아니라 군역의 부족분이나 환곡 부담 부족분도 토지에 넣어 한꺼번에 걷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것을 도결(都結) 방식이라 한다. 이 도결 방식은 농민들의 쪽에서 보면 한 항목의 조세를 여러 번 내야 하는 꼴이 되었다. 이러한 삼정의 문란과 지방관의 수탈이 겹치면서 농민들의 불만이 폭발하여 일어난 것이 임술 농민 항쟁이다.

거창은 거창 부사 황종석의 탐학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일성록』 1862년(철종 13) 7월 5일 「암행어사 이인명 서계(暗行御史李寅命書啓)」에 따르면 거창 부사 황종석은 1860년 이무미(移貿米)로 받은 4,500냥과 1861년 5,659냥 등 모두 10,159냥 가운데 조금만 입본(立本)[조선 시대에, 고을 원이 봄에 쌀값을 싸게 쳐서 백성에게 돈을 빌려주고, 가을에 쌀을 받아 이익을 보던 일]으로 남겨 두고 모두 훔쳐 갔고, 진상품인 곶감 대신에 거두어들인다는 명목으로 가작미 100석을 먹어 버렸으며 아울러 상납전 1,186냥 7전을 가로챘다. 그 밖에 저채(邸債), 임채(任債) 이름으로 6,400냥이나 거덜냈다. 황종석은 자신이 빼 간 돈을 결가에 보태 물리도록 했다.

[경과]

1862년의 거창 농민 항쟁은 읍내의 영천 장시(瀯川場市)날인 3월 21일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진주 항쟁 이후 농민 항쟁이 확산되는 추세를 보면 함양이 3월 16일, 성주가 3월 26일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부사 황종석이 진주 항쟁으로 자리를 비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농민 항쟁의 주모자인 이시규(李時奎), 최남규(崔南奎), 이승문(李承文) 등은 통문을 돌려 농민들을 모았다. 농민군은 읍내 근처에 모여 지방 관청에 소속된 서리, 장교, 관노, 사령의 집을 공격하여 불살랐다. 이어서 관아로 쳐들어가 부세 창고, 부세 장부를 부수고 또한 불살랐다. 부사 황종석은 이 소식을 듣고는 대구 감영에 휴가를 얻어서 거창으로 돌아오지 않고 곧바로 서울로 도망을 치니, 자연히 읍권은 농민들이 장악하게 되었다.

5월 10일 중앙에서 파견한 선무사 이참현(李參鉉)이 거창에 다다르자, 농민들은 통문을 돌려 다음날 다시 모이자고 연락하였다. 이 이야기를 들은 이참현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형식적인 절차를 마친 뒤 서둘러 거창을 빠져나가 성주로 향하였다. 이참현이 빠져나간 것을 뒤늦게 듣고 이참현을 쫓아간 농민들은 결전 13냥을 7냥으로 낮추어 주기를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거창 농민 항쟁은 5월 28일 감사 이돈영(李敦榮)의 장계로 비로소 중앙에 알려지게 되었다. 황종석은 파면되었고 감영에서는 포졸을 풀어 주모자들을 체포하였다. 이때 암행어사 이인명(李寅命)이 거창에 와서 이들에게 한 차례 형벌을 주었다. 그리고 중앙 정부에 보고하고 처분을 기다리려고 대구부로 압송하는 과정에 농민들의 습격을 받고 주모자들이 구출된다. 그러나 이인명이 감사와 병사에 하루빨리 체포하라는 명을 내렸고 약 두 달 뒤에 최남규와 이승문이 붙잡히고 그 뒤 이시규 또한 체포되고 만다.

[결과]

암행어사 이인명이 중앙에 올라가 7월 5일 서계와 별단을 올렸다. 여기에 따라 부사 황종석은 의금부에 체포당하여 심문을 받은 뒤 곤장 100대를 맞고 상주목으로 정배당하였다. 주모자인 최남규와 이승문은 8월 10일 처형당하였으며, 이시규는 어떤 처벌을 받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렇게 거창 농민 항쟁은 끝이 나고 만다.

[의의와 평가]

1862년 농민 항쟁은 농민들이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참여하여, 조세 수취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