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083 |
---|---|
한자 | 龍池公園 |
영어의미역 | Yongji Park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3|신월동 9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순형 |
성격 | 공원 |
---|---|
면적 | 325,000㎡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용호동 3|신월동 98![]() |
경상남도 창원시 용호동과 신월동에 걸쳐 있는 공원.
용지 공원은 2009년 현재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85개 공원 가운데 창원 지역을 대표하는 공원으로서 용지 호수를 중심으로 시내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용지 공원은 창원 지역 주민들의 휴식 공간과 문화 체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77년 4월에 공원 지정이 고시되었고, 1984년 4월 조성 계획 결정이 고시되었다.
2005년 10월 창원 대종각 주변을 특화하기 위하여 당초 380㎡의 협소한 광장을 약 7배에 달하는 면적인 2,706㎡로 확장·정비하였다. 2006년 3월 용지 공원 내 포정사 앞에 음악분수를 설치하고, 편의 시설(등의자·사각평상 등)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같은 해 11월 3단계에 걸친 창원시 구성원들의 합의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가운데 제1단계 사업(2006년~2010년)이 하천·공원·대기 개선 등의 인프라 확충에 중점을 두게 되면서 용지 공원은 창원시의 대표적인 환경 친화적인 공원으로 변화를 시도하게 되었다.
크게 용지야외무대·용지 호수(면적 54,600㎡, 둘레 1,169m, 저수량 119,600㎡, 수심 최대 4m, 최소 2.2m)·음악분수·문화예술회관·문화거리·시립도서관, 그리고 정구장·화장실 4개소와 건강지압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지 공원 내부에는 새 영남포정사·창원시민헌장비·대종각·경남항일운동기념탑·봉림사지 삼층석탑, 그리고 창원기계공업단지를 건설할 때 이건한 비석 26기 등 여러 기념 유적과 「고향의 봄」을 작사한 이원수를 기리는 노래비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공원은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들의 소풍 장소나 시민들의 휴식 장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용지야외무대에서는 주말에 음악회 등 문화 행사가 자주 열린다. 용지 호수 주변에 마련된 산책로는 많은 시민들이 애용하는 장소가 되었으며, 각종 예술제나 연등제 등의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용지 호수 안에 있는 지름 12m, 물 높이 20m의 분수는 13가지 형태의 물보라를 뿜어 올리며 장관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