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005
한자 土壤
영어의미역 Soil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동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암석이 풍화된 물질이 유기물과 혼합되어 지표면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층.

[개설]

우리나라 지질은 대부분 시생대의 화강 편마암과 중생대 말엽의 화강암이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경상남도 일대는 중생대의 쥐라기 말엽 내지 백악기 말엽까지의 경상계가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경상남도의 지질은 중생대의 경상계가 약 80%를 덮고 있다. 경상계는 낙동통(洛東統)과 신라통(新羅統)으로 구분되어 있다. 낙동통은 경상남도 서부의 진주시로부터 산청군, 경상북도 칠곡군과 구미시까지 북북동 방향의 긴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지층으로 폭은 약 20㎞이다. 신라통은 경남의 동부에서 시작하여 낙동통 서부까지 이어지는 지층으로 경남의 대부분을 뒤덮고 있다.

경상계 누층(累層)은 기저를 선캄브리아기의 화강 편마암을 주로 하는 육성 퇴적층, 안산암질층 빈암 및 말엽의 산성 화성암 등으로 구성된다. 하·중부의 낙동통과 신라통 양대는 북북동으로 연장되며 남동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신라통의 상부는 주로 안산암 질암 및 빈암류의 분출암 천처 관입 및 이에 수반한 용결 응회암 등으로 구성된다.

[지층 분포]

창원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은 경상계 분포 지역 남단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통의 중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신라통은 상부 경상 누층군에서 대표적인 것이며, 자색·회색·암회색 등의 니암·사암·빈암 및 자색 응회암류이고, 서색(鼠色)층이 기저(基底)가 되어 있다.

창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의 지층은 신라통 하부에서 응회암류 및 화산퇴적물을 주로 하는 신라통 상부의 점이 지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하부 신라통의 최상부에 해당하는 회록색·회색·자색 니암, 실트 스톤, 셰일의 와층으로 구성된 지층과 회색·암회색 니암, 실트 스톤, 셰일, 알코스 사암이 후기 화산암, 잔성 화산암 및 백악기 말기의 화강암류 등의 화산 활동으로 인하여 퇴적암의 규화 작용 생성물인 차트 등으로 구성된 지층[진동층], 차트·안산암질 암류와 응회암의 와층으로 형성된 지층[정병산층], 약간의 니암 및 셰일이 협재하여 녹색 응회암 및 각섬질 응회암으로 구성된 지층[용산 저수지], 신라통 최후의 퇴적층인 응회암과 앞서 진동층 퇴적 때부터 응회암층이 퇴적될 때까지 계속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안산암 질암, 빈암 및 천성 화성암으로 구성된 신라통, 백악기 말기의 심성화성 활동에 의해 구성된 불국사층과 그 후 계속되는 융기·삭박작용으로 제4계 애추충적층(崖錐沖積層)을 형성함에 이르렀다.

신라통(新羅統)은 역암·사암·셰일과 신라층군 화산암류인 안산암·현무암·유문암류 및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원 지역에서 신라통에 해당하는 지층들로는 천주산에서 마산 무학산 산록부에 걸쳐 분포하는 진동층이 불모산의 일부에 걸쳐 있고, 무학산 정상부 부근과 창원 정병산 일대의 정병산층, 팔룡산 부근의 응회암층, 마산 합성동 부근과 천주산 일부 및 비음령 등 시내 곳곳에 분포하는 안산암 질암층 등이 있다.

먼저 진동층(鎭東層)은 혈암·알코스 사암·역암·차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주산 서쪽 산록에서 남서 방향으로 창원시 및 인접 마산시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산지를 형성하며, 창원시의 북동까지 이어지는 지역과 무학산 북동 사면과 동쪽 능선을 따라 봉화산으로 연결되는 산지를 이루는 지역에 분포한다. 본 층은 층리의 발달이 현저하고, 주로 암회색 또는 혈암, 회색 알코스 사암으로 형성되어 약간의 혈암이 협재하며, 혈암 중에 많은 연흔이 있다. 본 층 퇴적 기간 중 계속되었던 화산 활동 및 불국사통 화강암 질암 관입에 기인하는 규화 작용으로 차트화하여 견고한 암층을 형성하여 산지를 이루고 있다.

정병산층(精兵山層)은 병산 일대와 무학산 산정에서 남서쪽으로 경사지면서 좁게 분포한다. 본 층은 차트·안산암 질암·응회질 혈암 및 응회암의 교층으로 진동층의 국부적 변상이라 할 수 있다. 니질 퇴적암(泥質堆積岩)은 화산 활동에 의한 규화 작용과 수반하여 혼펠스화되어 각섬석·녹니석 징정(綠泥石徵晶)이 생성되어 있다.

응회암(凝灰岩)은 신라통 최후의 퇴적암층으로 팔룡산 지역이 해당한다. 주로 녹색 응회암·각변질 응회암(角變質凝灰岩)으로 구성되고, 풍화된 면은 백색이 나타나는데, 팔룡산 남서 높이 193m 고지 부근에서는 원구상의 이암층이 개재한다.

안산암 질암(安山岩質岩)은 안산암 빈암·입상 안산암(粒狀安山岩)·조면질 안산암(粗面質安山岩) 등의 용암류, 천처 관입암류(淺處貫入岩類)·암상(岩床) 등의 모양을 보인다. 불모산대방동 일대, 장복산 일대, 진례면 일대, 정병산의 정상부, 멀리는 백월산 일대 등과 창원역 뒷산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데, 본 암석은 장기간에 걸쳐 생성되었고 산출 상태가 다양하며 각종의 색 조직을 갖는데, 일반적으로 장석·각섬석, 또는 휘석의 반정(班晶)을 가지고 암회색을 나타내는 암상, 내면적으로 반정을 갖지 않는 차트와 같은 흑색의 치밀 견질암(緻密堅質岩) 및 대갈자색(帶褐紫色)을 가지나 대녹색암(帶綠色岩)이 가장 우세하다.

[변천]

지질의 분포, 특성 및 계통으로 보아 창원시의 토양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변화되었다. 먼저 한반도 동남단의 경상 분지 남단에 해당하는 창원 지역은 중생대 백악기 초 광역에 걸쳐 서서히 일어난 침강 운동에 따른 거대한 함몰 분지의 연변으로 나타났으며, 그 후 함몰지에 광범위한 퇴적 활동이 일어나 셰일·알코스 사암·역암·차트 등의 퇴적암으로 구성된 진동층이 형성되었다.

진동층 형성 후 2~3회의 안산암 화산 활동이 일어나 정병산층과 주산 안산암 질암이 형성되었다. 안산암 화산 활동이 끝나고 불국사 운동이라 불리는 지각의 대변동에 따른 심성화 작용이 일어나 화강암류인 마산암이 생성되었다. 제3기에 들어와서는 북동~남남서 방향의 지각 단열화 현상이 일어나 지반이 융기하였다. 제3기 지각 단열화 현상은 오랜 기간 안정되었고 제4기에 들어와 육상의 삭박 작용이 진행되어 산록과 하천의 연안에 풍화 쇄설물 및 하상력이 형성되었다. 제4기 중반에 최초로 해진이 일어나 지금의 지형이 형성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