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050 |
---|---|
한자 | 注川江 |
영어음역 | Jucheongang |
영어의미역 | Jucheongang River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원경 |
경상남도 창원시 대산면 대산평야를 동류하며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주천강(注川江)의 ‘주(注)’는 ‘물을 대다’라는 뜻이다. 말하자면 대산평야에 ‘물을 대는’ 하천이라는 뜻으로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가 건설되면서 붙인 이름이라고 생각된다. 대산평야가 과거에 늪지였기 때문에 늪지를 흐르는 완만한 하천을 관개용수로 개발하게 되면서 붙인 이름이라고 생각된다.
주천강은 남쪽의 주남저수지와 북쪽의 동판저수지 두 곳에서 관개용수를 공급받아 대산평야를 동서 방향으로 흐르면서 이 평야를 적시고 낙동강 유등수문까지 흐르는 하천이다. 과거의 늪지를 흐르는 완만한 하천이기 때문에 관개용수로로 이용되고 있으면서도 이 하천에는 늪지의 생태계가 나타나고 있다. 부분적으로 보면 용수로(用水路)인지 늪지인지 구분이 애매할 정도이다. 이것은 주천강의 특징이기도 하다.
넓은 대산평야를 적시고 있기 때문에 주천강 자체가 창원시와 김해시의 경계가 된다. 이 하천을 따라서 창원시와 김해시에 속해 있는 많은 취락들이 입지하고 있다. 유로(流路)의 마지막에는 유등나루 부근에서 낙동강에 유입되는데, 유입되는 부분은 창원시 대산면에 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