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698 |
---|---|
한자 | 妙法蓮華經卷第四-七 |
영어의미역 | Lotus of the True Law Sutra (4~7st) |
이칭/별칭 | 『법화경(法華經)』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곡동 산139-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배상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5년 7월 21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묘법연화경 권제사~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불교경전 |
간행연도/일시 | 1543년![]() |
권수 | 4권 |
책수 | 1책 |
사용활자 | 목판본 |
가로 | 18㎝ |
세로 | 28.5㎝ |
표제 | 妙法蓮華經 |
간행처 | 석두사 |
소장처 | 봉림사 |
소장처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산139-9
![]()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봉림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 불교경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흔히 줄여서 『법화경(法華經)』이라 불린다. 석가모니의 설법 내용을 집약한 것으로 가장 널리 읽히는 대승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권7의 말미에 ‘가정이십이년계묘유월(嘉靖二十二年癸卯六月) 황해도(黃海道) 면산지(免山地) 학봉산(鶴鳳山) 석두사(石頭寺) 유판(留板)’이라는 간기(刊記)가 새겨져 있어 1543년(중종 38) 황해도 학봉산 석두사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05년 7월 2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2-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표지는 연녹색 비단으로 만들어졌는데, 다양한 종류의 꽃으로 수를 놓았다. 전체 7권 2책 중 권4·권5·권6·권7에 해당되며 4권 1책이다. 표제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며, 판심제(版心題)는 ‘법(法)’이다. 표지의 크기는 가로 18㎝, 세로 28.5㎝이며, 본문의 괘선 우측 하단에는 시주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묘법연화경』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오백제자수기품(五百弟子授記品)’, 권5는 ‘안락행품(安樂行品)’, 권6은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 권7은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으로 시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