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727 |
---|---|
한자 | 晉州姜氏 |
영어의미역 | Jinju Gang Clan |
이칭/별칭 | 진양강씨(晉陽姜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태성 |
강이식을 시조로 하고 강희창을 입향조로 하는 창원시 세거 성씨.
진주 강씨는 진양 강씨(晉陽姜氏)로도 불린다.
진주 강씨의 시조는 고구려 때 을지문덕과 수나라 대군을 물리친 장수인 강이식(姜以式)이다. 후손 강진(姜縉)이 신라 헌강왕 때 태중대부 판내의령(太中大夫判內議令)으로 재임 중에 진양후(晉陽侯)로 봉해지면서 본관을 진주(晉州)로 하게 되었다. 종파는 크게 은열공파·박사공파·소감공파·관서공파·인헌공파 등인데 은열공 강민첨(姜民瞻)이 가장 먼저 발원하였지만, 규모는 박사공파가 가장 크다.
진주 강씨의 창원 입향조는 은열공파 강희창(姜喜昌)이다. 1643년 5월 충청북도 청주에서 진해[현 진동] 현감으로 부임하여 임기를 마치고 김해시 하계면 효동리에 이거하였다가, 다시 창원시 의창구 북면 내곡으로 이거하였다.
창원시 의창구 북면 내곡리에는 도태·송촌·새터골 등의 마을이 있는데, 그 중 송촌이 진주 강씨의 집성촌이다. 입향조 강희창부터 지금까지 이곳에 집성을 이루고 살고 있다.
창원시 의창구 북면 내곡리에 모은재(慕隱齋)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