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885 |
---|---|
한자 | 尹又新 |
영어음역 | Yun Usin |
이칭/별칭 | 선수(善修)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경옥 |
조선 중기 창원부사를 지낸 문신.
윤우신은 서울에서 태어나 1561년(명종 16) 문과에 급제하였다. 1573년(선조 6) 안악군수에 이어 함흥판관이 되었다. 1581년(선조 14) 창원부사로 있다가 파직되었다. 이 후 영위사(迎慰使), 안주목사, 나주목사를 거쳤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지중추부사로 급고사(急告使)가 되었으며, 같은 해 호조참판이 되었다. 이 후 동지의금부사가 되었으며 정헌대부에 가자되었다.
『선조실록(宣祖實錄)』 14년 3월 기사(己巳)에 윤우신이 창원부사에서 파직된 경위가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사헌부에서 아뢰기를 ‘……경상도는 토호 세력들이 드세어 이와 관련된 송사가 지체되어 여러 해 동안 판결이 나지 않습니다. 전후에 걸친 수많은 죄를 물어야 할 벼슬아치들을 비록 모두 다 파직시킬 수는 없다 하더라도 세력에 눌리어 일부러 옥사를 늦춘 자들 중에 창원부사 윤우신은 더욱 심합니다. 파직할 것을 명하여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답하기를 ‘모두 윤허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뒤에 윤우신은 윤허하였다.”
1581년 3월 17일 윤우신의 은택을 기리는 부사윤공유애비(府使尹公遺愛碑)가 세워졌다. 비는 현재 경상남도 창원시 용호동 용지공원 안에 보존되어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내용을 정확히 판독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