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950 |
---|---|
한자 | 卞志燮 |
영어음역 | Byeon Jiseop |
이칭/별칭 | 초암(草庵)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남재우 |
성격 | 독립운동가|서예가|작가 |
---|---|
출신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
성별 | 남 |
생년 | 1926년![]() |
몰년 | 1999년 6월 17일![]() |
본관 | 초계 |
일제 강점기 창원 출신의 저술가이자 독립운동가.
변지섭은 1926년 지금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에서 태어나 1999년 6월 17일 타계하였다. 아버지는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었던 변상태(卞相泰)이다. 큰형은 변성섭(卞晟燮), 작은 형은 변경섭(卞坰燮)이다. 창원과 마산 지역에서 저술과 서예가로 활동하였다. 1985년 진주고등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받았다.
변지섭은 진주중학교[현 진주고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던 1944년 지금의 진주시 옥봉동 불교포교당 야학 교사로 활동하였다. 일본 교육은 노예 교육이라고 낙서를 한 것이 문제가 되어 퇴학당하고 일본 탄광에 강제 징용되었다. 1993년 단편소설 「결혼만세」로 문단에 등단하였고, 1972년부터 1985년까지 열한 차례 서예 개인전을 열었다.
1966년 『경남독립운동소사』, 1994년 『축성장군 최윤덕』을 저술하였다. 1999년에는 1963년 타계한 아버지 변상태의 유고 중에서 한시를 모아 번역하고 주를 달아 엮은 『우수와 분노』 등을 편찬하였다.
일제강점기 일제 식민교육에 대한 저항으로 2020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