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1349 |
---|---|
한자 | 聖住寺 |
영어음역 | Seongjusa |
영어의미역 | Seongjusa Temple |
이칭/별칭 | 웅신사(熊神寺),곰절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102![]()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이범홍 |
성격 | 사찰 |
---|---|
건립연도/일시 | 통일 신라 시대 |
창건자 | 무염 국사 |
전화 | (055)262-0108 |
팩스 | (055)264-0110 |
경상남도 창원시 천선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 소속 사찰.
『성주사 사적기』에 따르면, 통일 신라흥덕왕 때 왜구들이 자주 신라에 출몰하여 피해가 극심하므로 왕이 늘 근심하였는데, 어느 날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지리산에 있는 무염 화상(無染和尙)과 논의하면 물리칠 것이라고 하였다. 왕이 곧 사자를 보내 이런 사실을 전하자 무염이 신통력으로 이를 물리쳤다고 한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기뻐하며 무염을 국사로 봉하고 밭 360결(結)과 노비 100호(戶)를 내렸으며 즉시 절을 창건하였는데, 성인이 머무는 절이란 뜻으로 성주사(聖住寺)란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 설화에 따르면 성주사는 신라 시대인 835년(흥덕왕 10) 무염 국사[801~888]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무염은 821년(헌덕왕 13) 입당했다가 845년(문성왕 7)에 귀국했으므로 이 창건 설화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조선 시대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1604년(선조 37) 진경(眞鏡)이 중건하였으며, 이때 곰이 불사(佛事)를 도와 하룻밤 사이에 목재를 날라주었다고 하여 웅신사(熊神寺)라 하고 그로 인해 곰절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최근 성주사의 시왕상[1681년 조성] 복장물에서 나온 기록에 ‘불모산웅신사(佛母山熊神寺)’라고 되어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1682년(숙종 8) 한 차례 중수를 거친 뒤 1817년(순조 17) 범어사의 승녀 등암(藤巖)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크게 중흥하였으나, 그 후의 연혁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전하지 않는다.
최근 한 차례 화재로 인해 도량의 모습이 바뀌고, 교세 확장에 따른 대규모 불사가 이어지면서 이제는 예전의 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현재 경내의 주요한 전각으로는 1681년 건조한 대웅전을 비롯하여 영산전, 삼성각과 최근에 건립한 설법전·종각·지장전 등이 있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여래 등 목조 삼존불을 모시고 있으며, 또한 창건자인 무염 국사를 비롯하여 포암당(抱巖堂) 대총(大聰), 서봉당(棲峯堂) 의정(義定), 등암당(藤巖堂) 찬훈(璨勛) 등 네 분 조사(祖師)의 진영(眞影)이 모셔져 있다. 원래의 절 터는 현재의 위치에서 북서쪽으로 500m쯤 위에 자리 잡고 있었다고 한다.
그 주변에는 지금도 많은 석물과 탑의 기단석이 발견되고 있어 원래의 자리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 시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 관음보살 입상이 성주사 입구에 있는 용화전(龍華殿)에 안치되어 있으며, 사찰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는 부도군에는 1773년(영조 49)에 세워진 원혜(圓慧)의 부도와 1781년(정조 5)에 세운 경세(慶世)의 부도 등 원통형(圓筒形) 석조부도 4기가 있다.
성주사는 정법구현과 홍법포교를 위해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기초 신행 과정인 불모 학당[현 24회]과 기본 교리 과정인 불교 대학[현 15회]을 통해 지금까지 각각 2,700여 명과 800여 명의 불자를 배출하였다. 또한 성주사 부설 룸비니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름 캠프인 ‘보리수 학교’를 열어[현재 23회] 어린이들의 신행 교육에 매진하고 있다.
성주사에서는 해마다 가을에 산사 음악회[11회]를 열어 지역 사회의 문화 포교에 일조하고 있다. 성주사의 주요 조직으로는 최근 결성된 성주사 신도회가 있다. 그밖에 거사들의 모임인 불성회(佛性會)와 보살들의 모임인 불모회(佛母會)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신행 활동과 포교 활동을 벌이고 있다.
관련 문화재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성주사 삼층 석탑, 성주사 대웅전, 창원 성주사 관음보살 입상이 있으며, 보물 창원 성주사 목조 석가여래삼불좌상,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가 있다. 그리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성주사 동종, 성주사 신중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