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1416 |
---|---|
한자 | 追感堂 |
영어의미역 | Chugamdang Pavilion for Purification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지개리 528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정용 |
성격 | 재실 |
---|---|
건립시기/일시 | 1918년![]() |
정면칸수 | 4칸 |
측면칸수 | 2칸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지개리 528
![]() |
소유자 | 창녕조씨 승지공파 종중 |
관리자 | 창녕조씨 승지공파 종중 |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지개리 대한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 창녕조씨 승지공파(承旨公派) 문중 재실.
추감당은 본관이 창녕(昌寧)인 조치우(曺致虞)를 배향하는 문중 추모당이다. 조치우는 조선 성종 때 문신으로, 1494년(성종 25) 별사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을 거쳐 성균관전적이 되어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예천군수를 지내면서 선정으로 이름이 높아 청백리에 녹선되어 나라의 은전을 입었다. 추감당(追感堂) 내에 조치우의 부인에게 하사한 어사옥비(御賜玉碑)가 있다.
북면의 지방도 1045호선 굴현에서 약 2.1㎞ 지점에서 지개리 방면으로 분기하여 약 1㎞ 지점에 지개리 대한마을에 있는데, 추감당은 대한마을 동북쪽 끝 산자락에 위치한다. 뒤쪽은 마을 뒷산이고 앞쪽은 농경지와 지개천이 있으며 그 앞쪽은 구룡산 자락이다.
1918년 창건되었으며 전통식 건물 형식이다. 처음에는 모선재(慕先齋)로 명명하였으나 후에 명칭이 바뀌었고, 현재 건물 상태는 좋다.
소박하고 작은 대문이 있으며 현판은 없다. 재실 본당은 거칠게 다듬은 사각 2단 화강암 석축 위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왼쪽 1칸과 오른쪽 2칸은 온돌방이고, 그 사이에는 대청이며 정면 툇마루가 있는 민도리 형식이다. 앞쪽은 원주이고 나머지는 각주이며 홑처마로 된 맞배지붕의 목조와가이며, 남향이다.
대한마을은 현재 총 가구 수가 35여 호이나 창녕조씨는 살지 않는다. 예전에는 대한마을에 창녕조씨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하며, 1960년대까지 1~2가구가 거주하고 있었다고 전한다. 매년 음력 3월 첫 정일(丁日)에 창원, 밀양, 영천 등지에서 창녕조씨 문중 사람들이 찾아와 제향을 한다. 이전에는 모선계라는 유림 단체에서 제향하였다고 한다. 추감당 앞에 왕명으로 정우당이 직접 심은 팽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는데, 현재 수령은 450년이라고 하며, 그 앞에 조치우의 15세손 조규선(曺圭善)이 쓴 ‘어사옥비각(御賜玉碑閣)’ 입구라는 안내석이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