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1835
한자 社稷壇
영어음역 Sajikdan
영어의미역 Altar for the State Guardian Deitie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집필자 노성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원소재지 사직단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지도보기
성격 유적|민간 신앙 유적

[정의]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수령이 국왕을 대신하여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만든 제단.

[개설]

사직단은 토지의 신인 사(社)에게 제사 드리는 사단(社壇)과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제사 드리는 직단(稷壇)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든 때에도 의식을 행하였다. 전통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주례(周禮)』의 「고공기(考工記)」에 나오는 ‘좌조 우사(左祖右社)’에 따라 도성(都城)을 건설할 때 궁궐 왼쪽에는 종묘를, 오른쪽에는 사직단을 두었다. 토지와 오곡은 민생의 근본이므로 삼국 시대부터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사직단을 설치하여 왕이 친히 나가서 제사를 올렸다. 지방에서는 성주(城主)가 제주(祭主)가 되었으므로 창원은 창원 도호부의 부사가 제사를 주관하였다.

[위치]

『창원부읍지』 ‘단묘’에 의하면, “창원의 사직단창원 도호부에서 서쪽으로 2리에 있다.”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32권 경상도 창원 도호부 ‘사묘’에 의하면, “사직단창원 도호부 서쪽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사직단의 위치는 창원 도호부합포성에 있을 때의 사직단이다. 임진왜란 후에 창원 도호부 관아는 의창 읍성으로 옮겼으므로 이때 사직단도 같이 옮겼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직단이 있었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형태]

창원 사직단의 구조와 형태를 알 수 있는 흔적은 없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남원 사직단의 형태를 참고하면, 창원 사직단의 규모와 형태는 사단과 직단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3단의 방형[사각형]으로 단을 세우고 계단이 세 군데 설치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례]

지역의 사직단에서는 그 고을의 성주가 제주가 되어 매년 정월에 농사가 시작되기 전 사직단에 나아가 고장의 편안과 풍년을 빌었다.

[현황]

현재 창원 사직단의 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