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1897 |
---|---|
한자 | 加德八景 |
영어의미역 | Song of Eight Views of Gadeok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집필자 | 정정헌 |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부르던 비기능요.
「가덕팔경」은 1914년부터 창원군 천가면에 속해 있다가 1980년 의창군 천가면으로 편입되고 1989년에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동[현 가덕도동]으로 편입된 가덕도에서 주로 불리던 민요이다. 「가덕팔경」은 가덕의 자연과 특산물 여덟 가지를 자랑하며 즐겁게 부르는 민요이다.
1963년 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경상남도지』 하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1963년 4월에 창원군 천가면 천성리 주민 김수종의 구송을 채록한 자료이다.
선후창 구별 없이 나직하게 독창으로 부른다.
눌차의 문필봉은/ 가덕의 문호인이요/ 가덕도라 연대봉은/ 섬중의 조종이라/ 천수말 천수대는/ 도중(島中)의 명산이요/ 동두말 등댓불은/ 뱃길을 가르키고/ 삼신도 해안에는/ 생복이 생신이고/ 눌차의 석화 맛은/ 세계에 제일미요/ 새바지 겨울되면/ 대구가 조종이요/ 대항리 화포장은 우리나라 으뜸일세
가덕도는 예전부터 생복·굴·대구 등의 특산물로 인근 지방에까지 널리 알려진 곳이다. 또 화포장은 어패류를 외지인들에게 판매하는 주요한 시장이었다. 「가덕팔경」은 이러한 주민들의 생활 터전과 밀접한 가덕도의 풍경과 특산물을 노래하고 있다.
가덕도 천성을 시작으로 거제도와 연결되는 2km 왕복 4차로의 국내 최장교량 부산-거제 간 연결도로[일명 거가대교]가 2010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거가대교가 완성되면 가덕도는 또 다른 모습으로 재탄생할 것이다. 현재 「가덕팔경」과 같은 민요들은 이미 현지에서 사라지고 더 이상 불리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