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3415 |
---|---|
한자 | 新基里 |
이칭/별칭 | 신기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종호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
변천 시기/일시 | 1980년 - 신기리 의창군으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신기리 마산시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2010년 7월 - 신기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으로 편입 |
법정리 | 신기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신기리
![]() |
성격 | 법정리 |
가구수 | 253가구 |
인구[남,여] | 583명[남자 306명, 여자 277명]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도 읍지』에 나오는 신기리(新基里)는 지금 사동리(社洞里)가 된 옛 마을로 추정된다. 신기리(新基里)가 『경상도 읍지』에서 진해현 동면의 방리로 처음 나오며 『영남 읍지』에서 신기리(新基里)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경상도 읍지』와 『영남 읍지』의 방리 기록 순서를 대비하면 신기리가 사동리(社洞里)로 바뀌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사동리는 사직단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생겨난 이름이다. 『진해현 지도』[1872]를 보면 사동리에 진해현 사직단이 표시되었다. 신기리에 사직단이 세워짐에 따라 신기리가 사동리로 바뀌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신기는 남산 밑에 새로 된 마을로 남산이라고 하였는데 후에 신기리가 되었다. 죽전은 대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생긴 이름이며 죽전 염전은 죽전 동쪽에 있는 마을로 염전이 있다고 한다. 안땀은 죽전 염전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신기리는 넓은 들판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앞으로 덕곡천이 남해로 흘러든다. 1982년 11월 29일 경남 271호로 지정 고시된 지방 하천인 진동천[7,000m]의 종점이다. 2002년 12월 2일 지정 고시된 죽전천[1,100m]이 흐르고 있다.
신기리에는 진동 저수지가 있다. 옛 마을로는 신기[남산], 밤티, 안땀, 죽전, 죽전염전 등이 있으며 삼진 체육관이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