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3494 |
---|---|
한자 | 石田-洞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은주 |
개설 시기/일시 | 1910년![]() |
---|---|
변천 시기/일시 | 1943년 10월 1일 - 창원군 창원면 석전리, 마산부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58년 8월 15일 - 석전리에서 석전동으로 개칭 |
변천 시기/일시 | 1983년 10월 1일 - 석전동 1,2동으로 분동 |
행정동 | 석전 2동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2동
![]() |
성격 | 행정동 |
면적 | 0.9㎢ |
가구수 | 4,015가구 |
인구[남,여] | 9,914명[남자 5,015명, 여자 4,899명]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속하는 석전동을 관할하는 행정동.
‘석전’이라는 명칭은 이 지역이 예전부터 돌이 많아 돌밭이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로 하여 석전(石田)이라 한 것이다.
석전 2동은 본래 합포현의 지역으로서 조선 태종 때 창원군에 편입되고 1910년 마산부제 실시에 따라 마산부 내서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합에 의해 다시 마산부에 속했다. 1958년 8월 15일 시 조례 제126호로 석전리에서 석전동으로 동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1983년 10월 1일 시조례 제1136호로 석전동을 석전 1동·석전 2동으로 분동하였다.
석전 2동은 갈뫼산, 삼호천, 산호천으로 경계를 이루는 주거 상업 지역이다. 취락은 원래 근주천의 선상지 말단에 발달하였으나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인해 지금의 새로운 주택지로 개발되었다.
석전 2동은 마산역과 서마산 IC를 포함하고 있어 창원시의 관문이자 교통의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석전 2동은 공공 기관, 은행, 보험 회사, 병원 등 주요 기관의 밀집 지역으로 서민 생활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 현재 면적은 0.9㎢이며, 총 4,015가구에 9,914명[남자 5,015명|여자 4,89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서쪽으로 회성동, 남쪽으로 석전 1동과 이웃하고, 북쪽과 동쪽으로 합성 1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